특허청 지재권 교육 인기…올 잠비아·이란 등 8개국 요청
19일 지식재산연수원에 따르면 지난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잠비아, 걸프협력기구 특허청(GCCPO) 심사관 교육에 이어 올해 잠비아, 이란, 홍콩 등 8개국 특허청이 한국을 방문해 선진 지재권제도 및 행정을 배우겠다며 교육을 요청했다. 개발도상국 심사관 교육은 파견국에서 항공·체재비를 부담하고 연수원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국의 지원 없이 개도국이 자체 예산으로 교육에 파견을 한다는 점에서 달라진 위상을 반영한다.
대상 국가가 필리핀, 태국 등 동남아 위주에서 중동, 짐바브웨 같은 아프리카 등으로 확대됐고 교육 분야도 지재권제도뿐 아니라 기술 분야별 심사 실무, 지재권 창출 정책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지재권 교육 수요 증가는 한국이 특허(IP5)와 상표(TM5) 분야 5대 선진 특허청의 일원인 데다 특허정보시스템과 고급 인력 확보 등을 통해 빠른 심사 처리 및 고품질의 심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또 지식재산연수원은 2006년 세계 최초로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 공식 지재권 교육기관으로 지정받아 아시아·태평양 지역 세미나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면서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특허청은 개도국과 교육 및 교류 확대를 통한 우호적인 지재권 환경 조성 등으로 현지 진출 기업의 지재권 보호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변훈석 원장은 “개도국들의 교육 요청을 전부 수용하기는 힘들지만 ‘행정 한류’ 확산을 위해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