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공원 스카이리프트 30여년 만에 역사 속으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주다움 통합돌봄’의 진화… “보편복지 넘어 돌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돌봄 위기가정 1만 3871명에 서비스… 안전망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쇳가루 날리던 뿌연 영등포는 옛말… 꽃향기 풀냄새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감소세 뚜렷해졌지만… 추가 감염 차단 ‘강동경희’ 전면 폐쇄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메르스 확산 둔화… 한풀 꺾이나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발생 위험이 있어 격리됐다가 잠복기가 끝나 해제된 사람의 수가 현재 격리 중인 사람의 두 배를 넘어섰다. 최근 닷새간 메르스 확진 환자가 3명 이하로 발생한 점을 볼 때 아직 추이를 예단하기는 어려워도 진정세는 뚜렷하다. 지난 20일에는 이달 들어 처음으로 추가 확진자 수가 ‘0’명이었다.

21일 서울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앞에서 의료진이 환자들에게 방역복을 입히고 있다. 이날도 이 병원 의사 1명이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아 병원 안팎의 긴장감이 가시지 않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21일 현재 격리 중인 사람은 4035명으로 전날보다 1162명이 줄었고, 격리가 해제된 사람은 모두 8812명으로 하루 동안 1361명이 늘었다. 다만 확진 환자가 신장질환자 등 메르스 취약군이 포진한 강동경희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에서 발생한 점은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이날 추가된 환자 3명 가운데, 167번째 환자(53)는 지난 5일 76번째 확진자(75)가 있었던 강동경희대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가 메르스에 감염됐다. 지난 17일까지만 해도 의료진이 수술복에 마스크 등 허술한 보호구만 갖추고 진료에 임했던 삼성서울병원에선 또 한 명의 의료진 감염자(34)가 발생했다.

강동경희대병원은 이날 전면 병원 폐쇄를 결정했다. 신규 입원을 중단하고 투석환자를 제외한 입원 환자는 서울시 등과 협의해 다른 병원으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이미 메르스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의심되는 투석환자 97명은 병원 내 병상을 확보해 격리 입원하도록 할 계획이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총괄반장은 “삼성서울병원과 강동경희대병원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이 부분을 잘 통제하면 메르스가 추가로 대폭 확산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서울병원은 추가 환자가 예측 가능한 범위 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오는 24일까지로 예정된 병원 부분폐쇄 기한을 연장하지 않기로 했다. 삼성서울병원은 137번째 환자(55)로 인한 추가 감염 우려가 있으나, 아직까진 이 환자로부터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례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 병원 이송요원인 137번째 환자는 메르스 증상이 발현한 후에도 9일간 병원 내 응급실 등을 드나들었다. 이날 경기 구리시도 메르스 1차 양성자가 입원했던 카이저 병원과 9층짜리 건물을 폐쇄했다.

한편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격리해제된 사람 중 생활이 어려운 가구에 대해 추가로 긴급생계지원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격리 중 이미 긴급생계지원을 받았더라도 소득·재산 등 형편을 고려해 긴급생계지원을 1개월 연장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날 현재 메르스 확진자는 169명이며, 사망자는 25명으로 14.8%의 치사율을 보였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6-22 6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