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종학 의원·나라살림연구소 분석
행정자치부에 전화를 걸면 이런 안내음성을 들을 수 있다. “정부3.0 국민이 행복한 나라, 국민이 주인 되는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이처럼 ‘정부3.0’은 주요 국정목표 가운데 하나이지만, 정작 재정정보 투명성 측면에서는 중앙 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비해 크게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
13일 홍종학 새정치민주연합 의원과 나라살림연구소는 공동으로 발간한 재정투명성 정책보고서에서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재정투명성 실태를 비교한 결과 제도와 실천 모두 지자체가 앞서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지방재정을 다룬 지방재정법은 지난해와 올해 개정을 통해 재정정보 공개의 깊이가 지속적으로 강화됐다”면서 “국가재정법도 지방재정법 수준으로 재정정보 공개 등 투명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그동안 ‘원문공개’ 등 정부정책 투명성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그에 비해 대외적인 평가는 초라하다. 세계경제포럼(WEF)이 해마다 발표하는 국가경쟁력지수 가운데 하나인 ‘정부정책 투명성 지표’는 노무현 정부 당시인 2007년에는 세계 34위였지만 2009년 100위를 거쳐 2013년에는 137위까지 추락했다. 올해 초 발표한 2014년 순위는 133위다.
보고서는 구호와 현실의 괴리가 발생하는 원인을 두 가지 점에서 짚었다. 우선, 지자체 재정투명성은 지자체 자체적인 노력과 실험, 중앙정부 주문 등의 영향으로 꾸준히 개선된 반면 중앙정부는 재정투명성과 관련한 노력을 등한시했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중앙정부가 강조하는 재정투명성과 이를 위한 평가 강화가 결과적으로 기획재정부의 권한을 늘리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점이다.
국가재정법 역시 지난해 12월 개정을 통해 재정정보 투명성을 강화했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지방재정법에 비해서는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권고하는 재정정보 공개와 국회통제를 위한 제도 권고조차 제대로 법제화되지 않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가령, 지자체 재정공시 현황에 대해서는 평가지표를 통해 관리하는 기재부가 정작 다른 중앙부처 재정공시를 위한 매뉴얼이나 지침조차 갖고 있지 않다”고 꼬집었다.
보고서는 또 중앙정부가 국가재정 투명성 확대보다는 지자체 통제에 더 공을 들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그동안 정부는 지자체 재정자율성 확대보다는 상급기관으로서 관리·감독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했다”며 성과보고서 중심의 재정관리가 갖는 한계를 언급했다. 기재부가 관리하는 재정 성과보고서 체계에 대해 보고서는 “한국의 성과관리체계는 예산당국에 권한을 집중시킨다는 점에서 특히 영미형에 가깝다”고 밝혔다.
홍 의원은 “투명한 재정정보 공개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도 “문제는 그동안 정부가 주도한 지자체 재정투명성 강화는 지자체의 자율성을 강화하는 ‘지방분권’이 아니라 오히려 지방재정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중앙정부가 지자체 재정규율을 강화하는 동안 중앙정부가 지자체보다도 재정제도가 뒤처지는 역설적인 상황에 빠져 버렸다”고 꼬집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