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섭 마포구청장은 젠트리피케이션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이렇게 말문을 열었다. 2012년 1월 임대료 부담 때문에 홍대앞을 떠나야만 했던 마포구의 대표 빵집 ‘리치몬드 과자점’은 홍대앞 젠트리피케이션의 신호탄이 됐다.
서울시는 예산으로 ‘장기안심상가’를 만들어 지나친 임대료 때문에 원주민이 터전을 뺏기는 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시가 지난달 발표한 ‘젠트리피케이션 종합대책’에 총 6개 지원 지역이 선정됐는데 마포구는 신촌·홍대·합정, 성미산마을 2군데가 뽑혔다.
다행히 마포구는 시민사회 운동이 가장 활발한 곳이다.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 중인 홍대나 연남동 지역의 주민들이 중심이 돼 지역 기반의 사회문제에 대한 지속가능한 해결 방법을 스스로 찾아가고 있다.
서교동의 ‘잔다리문화예술마을기획단’이 좋은 예다.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홍대앞 상인과 문화예술인을 보호해 문화예술마을공동체를 형성하고자 만들어졌다. 서교동의 옛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잔다리문화예술마을기획단은 홍대앞 상인과 문화예술인, 마을생태계 전문가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그동안 홍대앞 지역상권 활성화와 상인·문화예술인 상생을 위한 합동워크숍과 문화예술제를 열고, 젠트리피케이션 해법을 모색하는 포럼도 개최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5-12-0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