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 수능 마친 고3 초청 성년례
“댕기 머리가 예쁘게 돼서 기분이 좋네요. 성년례를 치렀으니 좀 더 성실하게 대학 생활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요.”(김나연 창문여고 3년)“바른 몸가짐과 마음가짐으로 성년을 맞이했으니 이제 애처럼 굴지 않으려 합니다.”(강은구 미양고 3년)
15일 강북구청 4층 대강당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마친 뒤 ‘말년 병장’처럼 시간을 보내는 고등학교 3학년 남녀 학생 38명이 곱게 한복을 차려입고 단정하게 앉았다. 올해 두 번째로 전통문화 방식을 그대로 재현해 치르는 성년례에는 1997년에 태어난 학생들이 참석했다. 성년례 참여자는 교장에게 추천받았는데 “수능을 잘 봤다”며 다들 성적에 만족스러운 태도였다. 강북구는 자칫 들뜨기 쉬운 환경에 놓인 학생들에게 성년의 책임과 의미를 깨닫게 해 주고자 지난해부터 한국전례연구원 예절시연단의 도움으로 성년례를 재현하고 있다. 성년례는 고려시대에 시작돼 1895년 단발령과 함께 사라진 의식이다. 남자는 상투를 틀고 여자는 쪽을 쪘다. 단순히 머리 모양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어른이라는 책임의식을 일깨우는 예식이다. 특히 남자는 자를, 여자는 당호를 내려받아 이름에도 책임감을 느끼게 된다.
화계사 주지 수암 스님은 “성년례는 손과 발은 자유를 얻지만 어깨에는 책임이라는 무한한 짐을 지는 날”이라며 “인생의 책임이라는 무게를 못 느끼면 나이는 들어도 성장은 멈춘 어린아이에 지나지 않는다”며 성년례의 문을 열었다.
이날 성년례는 남자는 관례, 여자는 계례를 했던 전통 성년례를 재현한 것이다. 남성의 머리는 망건을 씌워 상투를 틀고, 여성의 머리는 쪽을 찌는 의식도 이어졌다. 이어 남성은 관, 심의, 띠, 신을 착용하고 여성은 녹의홍상에 비녀를 꽂는 평상복을 입는 시가례가 있었다. 남성은 갓, 여성은 당의인 외출복을 입는 재가례가 이어졌다. 남성은 도포, 여성은 활옷에 족두리인 예복을 입는 삼가례까지 행해졌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5-12-1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