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원성 높던 마장동 어린이집 1년 새 가고 싶은 곳으로… 그 비밀은
“어린이집 때문에 아파트 값이 올랐대요. 젊은 부모들이 이사 오고 싶어 해서….”
|
어린이집 원생들의 모습. 서울신문DB |
하지만 불과 1년여 전만 해도 부모들의 불만 섞인 민원을 자주 받고 정원 채우기도 어려웠던 곳이다. 조 원장은 “국공립 어린이집으로 전환한 게 ‘신의 한 수’였다”고 말했다.
이 어린이집은 2014년 12월 운영 주체가 민간에서 성동구로 바뀌었다. 국공립 어린이집 늘리기에 나선 서울시와 성동구가 전환을 권했다. 자녀를 국공립 시설에 맡기고 싶어 하는 아파트 엄마들이 입주자 대표를 직접 만나 설득했다.
조 원장은 “민간 시설일 때는 교사의 연차가 쌓여도 호봉을 인정하지 않았고 직무 만족도가 떨어져 그만두는 이들이 많았다”면서 “국공립 전환 뒤 연차를 인정해줘 10년 차 교사 기준으로 급여가 월 40만~50만원 정도 올랐다”고 말했다. 또 교사 휴게실과 사무실 등도 생겼다.
또 국공립 전환 이후 원아 수가 늘고 시 지원도 오르면서 운영비가 부족함이 없게 됐다. 구에서 아동 1명당 친환경 급식비로 월 2만 5000원씩 지원한다. 이렇게 교사의 자존감이 높아지고 보육 환경이 개선되니 아이와 학부모의 만족도도 높아졌다.
서울시는 국공립을 새로 짓기보다는 민간 시설을 국공립으로 돌리는 방식으로 공공 보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민간 어린이집 운영자 가운데 ‘국공립으로 전환하면 소유권을 빼앗긴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면서 “국공립으로 바뀌어도 소유권은 민간이 가진 채 운영권만 자치구에 넘어가고 계약기간이 끝나면 운영권을 다시 민간으로 되돌릴 수 있다”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6-05-11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