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하라 도시재생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이 갖고 있던 긍정적인 에너지가 지금의 서울 도봉구 쌍문동으로 이어질 겁니다.”이동진(왼쪽) 도봉구청장과 박동기(오른쪽) 롯데월드 사장이 11일 도봉구청에서 열린 ‘응답하라 1988 사진&체험전’을 둘러보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
쌍문동은 ‘응팔’에서 현재 서울시가 추구하는 마을공동체 사업의 목표가 그대로 실현된 이상향으로 그려졌다. 지자체가 따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주민들이 이웃의 사정을 알고 먼저 손을 내밀고, 즐거운 마음으로 반상회에 참여해 동네 꼬마에게 무슨 성탄절 선물을 할지 의논할 만큼 지역공동체가 끈끈했다.
이런 드라마의 인기는 ‘응답하라 1988 사진&체험전’으로 이어졌다. 롯데월드 입장객들이 참여했던 ‘응팔’ 사진전을 CJ엔터테인먼트, 롯데월드와 같은 대기업의 기부와 협력으로 도봉구청에서 주민들이 무료로 즐길 수 있게 됐다. 주민이 참여하는 사진전이 될 수 있도록 음악공연, 벼룩시장, 복고패션쇼 등의 행사도 연다.
이 구청장은 11일 ‘응팔’ 사진전 전시물의 공익적 활용을 위한 협약식을 롯데월드와 맺으면서 “골목길이 살아 있는 도봉구에서 마을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전시를 열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협약 체결은 드라마 ‘응팔’을 제작한 CJ엔터테인먼트의 후원으로 이뤄졌다.
창동역 옆에 컨테이너 상자로 만든 문화 공간 플랫폼 창동 61이 지난달 29일 문을 열면서 도봉구는 토박이들이 사는 집성촌이자 베드타운에서 서울의 문화 중심지로 도약했다. 대규모 한류 공연장인 2만석 규모의 서울아레나 외에도 국내 최대 규모의 로봇박물관, 사진미술관 등이 줄줄이 도봉구에 들어설 예정이다.
이 구청장은 “드라마의 인기는 도봉구의 공동체 활성화 사업에도 좋은 영향을 미쳤다”며 “도시재생사업 예산은 아레나 건설 등 기반시설 확충과 정비에 쓰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6-05-1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