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재난영화 공무원들 착용… ‘무능의 상징’ 여겨져 인식 악화
“쇄신론 불구 국민 공감대 필요”라임색 민방위복이 12년 만에 다시 예전의 카키색 점퍼로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국가적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민방위 대원들이 입는 라임색 민방위복이 무능한 공무원의 상징처럼 비치고 있기 때문이다. 민방위법 시행규칙에 라임색으로 정의된 민방위 근무복은 2005년 국방색 점퍼에서 현재의 색깔로 바뀌었다.
|
민방위 근무복은 모자, 상의, 하의, 신발까지 모두 시행규칙에서 세세하게 규정하고 있는데 모자, 상의, 하의는 라임색이며 신발은 역시 비슷한 색깔의 황토색 바탕에 어두운 초록색인 녹두색 합성가죽이 덧대어 있는 형태의 운동화다. 1975년 민방위가 창설되면서 30년간 국방색 점퍼를 입다가 밝고 명랑한 이미지의 라임색으로 바꾸었다.
대한민국 만 20~40세 모든 남성이 대상인 민방위는 1975년 당시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등이 공산화되자 안보적 측면에서 만들어졌으나 산업화와 기상이변에 따른 재난이 증가하면서 중요성도 커졌다. 외국에도 스웨덴, 영국, 덴마크, 미국, 이스라엘, 싱가포르, 스위스, 독일, 타이완 등에 민방위가 있으며, 북한은 붉은청년근위대, 노농적위대 등이 유사한 조직이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7-02-0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