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소 전문 인력 160명 상수도 감시…100세대 이상 피해 시 기술·인적 지원
지난해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로 대두된 지방 상수도 시설 관리 및 체계적인 사고 대응을 위해 4대강 유역수도지원센터가 설치된다.환경부는 22일 경기 과천 한국수자원공사 한강권역본부에서 유역수도지원센터 출범 및 한강유역수도지원센터를 개소한다고 21일 밝혔다. 센터는 수도 시설을 관리하는 지자체 대부분이 열악한 재정 여건 및 인력·전문성 부족으로 평시 시설 운영과 유사시 사고 대응력이 미흡하다는 분석에 따라 상시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직이다.
센터는 한강과 낙동강, 금강, 영산강·섬진강 유역에 1개소씩 총 4개소가 설치되며 센터별로 약 40명씩 총 160여명의 전문 인력을 배치할 계획이다. 센터는 피해 규모가 100세대 이상인 수돗물 사고가 발생해 지자체가 요청하면 기술적·인적 지원을 한다.
특히 300세대 이상 대규모로 확대되면 ‘현장수습조정관’을 파견하게 된다. 환경부의 현장수습조정관은 신속한 대응을 위해 센터의 전문 인력을 투입해 사고 원인 분석부터 사고 수습까지 전 과정에 참여해 지원하도록 했다.
센터는 평상시에는 수도계획 수립과 시설 진단, 유수율 제고, 수계 전환 등 상수도 전반에 걸친 기술을 지자체에 자문한다. 특히 올해부터 전국에 구축하는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와 연계해 수돗물 사고 감시에 나설 계획이다. 환경부는 2022년까지 수질·수량·수압 감시 장치와 자동배수설비, 정밀여과장치 등을 관망에 설치해 실시간 현황 감시 및 자동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상수도 관리시스템을 전국에 구축할 계획이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20-01-22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