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공사가 85조로 최다
조달청 나라장터 거래 65%, 중소기업 비중 63%
지난해 공공 조달 규모가 225조원으로 10년 전과 비교해 2배 이상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달청은 조달 데이터 허브시스템에 공개한 2024년 공공 조달 실적 집계 결과 공공 조달(계약기준)은 225조 1000억원으로 전년(208조 6000억원)과 비교해 7.9%(16조 5000억원) 증가했다고 27일 밝혔다.
공공 조달 통계를 작성한 2015년(110조원)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이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의 8.8% 수준으로, 공공 조달이 내수 및 민생 경제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축이 되고 있다.
기관별로는 지방자치단체가 94조 1000억원으로 41.8%를 차지했고 공공기관(80조 5000억원), 국가기관(50조 5000억원) 순이다.
사업별로는 공사(85조 7000억원), 물품(84조 3000억원), 용역·서비스(55조 1000억원) 등으로 조사됐다.
조달시스템별로는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나라장터 거래실적이 145조 1000억원으로 64.5%를 차지한 가운데 자체 조달시스템 및 비전자 계약이 80조원으로 집계됐다. 조달청은 올해 차세대 나라장터 개통으로 공공기관 자체 조달시스템이 나라장터로 통합되면 자체 조달시스템 등 거래 비중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백승보 조달청 차장은 “공공 조달통계는 데이터 기반 조달행정의 핵심 인프라로 조달정책을 국민 삶 속으로 전달하는 통로”라며 “조달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전담 관리하는 조달데이터 팀을 신설해 정책적·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전 박승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