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청년 금융 타임머신 서비스 개시…5년 후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서울시, 숨은 독립유공자 230명 찾았다…보훈부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노원구 청소년 정책, 전국 우수사례로 수상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관악 ‘강감찬대로’ 개발 청사진 나왔다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PGA 왕중왕전 우승자는 163전 164기의 플리트우드…인성 좋은 플리트우드 우승에 타이거 우즈, 로리 매킬로이도 축하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토미 플리트우드.AFP 연합뉴스


페덱스컵 포인트 상위 30명만 출전해 진정한 챔피언을 가리는 미국프로골프(PGA)투어 투어챔피언십에서 163번 출전하는 동안 우승과 연을 맺지 못했던 토미 플리트우드(잉글랜드)가 164번째 출전 대회에서 1000만달러 우승상금의 주인공이 됐다.


토미 플리트우드.EPA 연합뉴스


플리트우드는 25일(한국시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이스트레이크 골프클럽(파70)에서 열린 PGA 투어 페덱스컵 플레이오프 최종전인 투어 챔피언십(총상금 4000만달러) 마지막 날 2언더파 68타를 쳐 합계 18언더파 262타로 패트릭 캔틀레이와 러셀 헨리(이상 미국·15언더파 265타)를 3타차로 따돌리고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플리트우드는 투어 챔피언십 우승 트로피인 복제 칼라마티 제인 퍼터와 함께 PGA 투어 플레이오프 우승자에 주는 페덱스컵 등 2개의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세계랭킹 10위인 플리트우드는 ‘우승 없이 가장 많은 상금을 번 선수’라는 유쾌하지 않은 꼬리표가 따라다녔다. 그는 DP월드투어에서는 7번이나 우승했지만 유독 PGA 투어에서는 163차례 대회에서 준우승을 6번이나 했고 5위 이내에도 30번이나 진입했지만 우승과는 인연을 맺지 못했다.

그렇지만 이번에는 달랐다. 마지막 날을 캔틀레이와 공동 선두로 시작한 플리트우드는 2번홀(파3)에서 버디를 잡았지만 5번홀(파4)에서 보기로 주춤했다가 다시 6번과 7번홀(파4)에서 버디로 독주체재를 굳혔다. 플리트우드의 독주에 캔틀레이와 헨리는 추격의 힘을 잃었다.

오랜 기다림 끝에 따낸 첫 우승에 대해 플리트우드는 “결국은 해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게 기쁘다”면서 “수많은 실패와 좌절에도 할 수 있다는 믿음을 저버리지 않았다”고 밝혔다.

지난해 이 대회 챔피언인 세계랭킹 1위 스코티 셰플러(미국)는 공동 4위(14언더파 266타)로 대회를 마쳤다. 로리 매킬로이(북아일랜드)는 공동 23위(6언더파 274타)에 그쳤다. 7년 연속 투어 챔피언십에 출전한 임성재는 공동 27위(이븐파 280타)에 머물렀다.

“내 자식들한테 해주는 조언은 ‘먼저 사람이 되어라’라는 말 하나뿐”이라고 말할 정도로 인간적인 선수로 알려진 그의 첫 우승에 특급 스포츠스타들도 기쁨을 나타냈다.

타이거 우즈(미국)는 플리트우드의 우승이 확정되자마자 “노력, 끈기, 그리고 진심이 결국 보답받는다는 것을 보여줬다. 누구보다 (우승할) 자격이 있다”며 축하 인사를 소셜미디어에 올렸다. 매킬로이도 “그가 결승 테이프를 뚫고 나갈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랐다”며 플리트우드의 우승에 눈시울이 뜨거워졌다고 털어놨다.

이제훈 전문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이중섭·박수근… 노원에 뜬 미술 거장들[현장 행정]

노원아트뮤지엄 ‘한국 근현대…’展

동대문 재활용 이끌 ‘자원순환 정거장’ 활짝

삼육보건대·지역 기관 모여 개소식 종이팩 수거·세척 체계 구축 등 협력

“장애인·노인 승강기로 편하게 양평교 다녀요”

영등포, 보행 약자 위해 2대 설치 안양천 체육시설 등 접근성 향상

강서 옛 염강초 부지 ‘유아교육 거점’ 새 옷

서울유아교육진흥원과 이전 MOU 평생학습관 등 기존 인프라와 연계 2030년 개원 목표로 지원 체계 강화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