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취수원 이전
페놀 유출 등 여파 ‘수돗물 포비아’낙동강 상류로 취수원 이전 추진
구미시 “우리도 부족” 반대 지속
최근엔 ‘안동댐 하이웨이’ 급부상
李정부 들어 ‘해평취수장’ 재검토
“맑은 물 마시려면 정부 중재 절실”
|
대구시가 구미시의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협상 재검토 주장을 파기하고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을 추진한 안동댐. 안동시 제공 |
맑은 물, 대구시민의 30년 넘은 소원이다. 1991년 낙동강 페놀 유출 사고 등 수차례 반복된 수질오염 사고에 대구시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취수원 이전 사업을 추진했으나 장기간 표류해 왔다. 한때 정부가 나서 대구시와 구미시 등 관계 기관이 구미 해평취수장을 공동 이용하는 협정에 서명하기도 했지만, 정치적 갈등으로 또다시 무산됐다. 복잡한 상황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이재명 정부 출범 직후 환경부가 사업 전면 재검토 방침을 밝히면서다. 정치적인 이유로 안전한 취수원 확보가 미뤄지던 상황에 돌파구가 마련될지 관심이 쏠린다.
●도돌이표 같은 대구 취수원 이전 사업
28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대구 취수원 이전 사업은 지난 30여년간 9차례 넘게 발생한 수질오염 사고로 인해 추진됐다. 1991년 구미공단 페놀 유출 사고는 시민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수돗물을 마신 시민들이 구토와 두통을 호소했고 역한 냄새도 진동했다. 이후 2004년 1,4-다이옥신 유출, 2006년 퍼클로레이트 유출 등 비슷한 사고가 잇따르면서 대구에 ‘수돗물 포비아’를 일으켰다.
이에 대구시는 2009년 공단이 밀집한 구미 지역 위쪽인 낙동강 상류로 취수원 이전을 추진했다. 하지만 물 부족을 우려하는 구미시의 반대에 부딪히면서 10여년간 표류했다. 장기간 이어진 갈등은 2022년 낙동강 수질 개선에 나선 정부 주관으로 대구시와 구미시 등 6개 기관이 구미 해평취수장을 공동 이용하는 내용이 담긴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에 서명하면서 일단락되는 듯했다.
하지만 민선 8기 출범 이후 김장호 구미시장이 협정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상황은 반전한다. 이에 당시 홍준표 대구시장은 “더이상 물 문제로 구미시장과의 대화는 없다”며 협정 파기를 지시했다. 이후 낙동강 최상류인 안동댐에서 대구 문산·매곡 정수장까지 지어지는 110㎞ 길이의 도수관로를 연결하는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으로 선회했다.
●李정부 “해평취수장 이용 협정 유효”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안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다만 구미시는 해평취수장에서 10㎞가량 떨어진 구미보 일대를 새로운 취수원으로 삼자는 대안을 제시한 상태다. 반도체 특화단지 등으로 선정됐음에도 해평취수장이 있어 입주 업종 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지난 7일 경북 안동댐과 해평취수장 등 낙동강 수계 주요 시설을 직접 찾았다. 이 자리에서 김 장관은 “구미보 상류로의 (취수원) 이전은 상주나 의성 등 다른 지역에서 동의하지 않고 조율도 안 될 것 같다”며 “비용만 놓고 보면 해평취수장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지난 26일에는 울산 반구대 암각화 현장에서 “가급적 올해 안에 대구 취수원을 해평취수장으로 옮기는 계획을 확정하겠다”고도 했다.
이와 함께 환경부는 최근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이 유효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대구시와 구미시의 갈등을 숙의 과정으로 본 것이다. 사실상 해평취수장으로의 대구 취수원 이전을 시사한 셈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 상정된 안동댐 안은 반려 또는 부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정부가 해평취수장으로 다시 눈을 돌린 배경으로는 예산·절차상 효율성이 꼽힌다. 해평취수장으로 이전하면 총사업비가 1조 1486억원에 달하는데, 문산·매곡 취수장의 초고도 정수 처리에 드는 비용 3760억원은 대구시가 부담해 정부는 7726억원을 부담하게 된다. 반면 안동댐으로 취수원을 옮기면 총사업비가 1조 8504억원에 달한다. 정부 입장에서는 해평취수장 안이 국비 예산이 절반밖에 들지 않는 데다 2022년 이미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국가 사업으로 확정돼 있어 비교적 효율적이다.
●대구시 “두 안 검토”
대구시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안동댐 원수 이용 안과 해평취수장 이용 안 모두 검토 대상으로 삼겠다는 입장이다. 새 정부 출범 이후 해평취수장 안이 다시 주목받으면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행정부시장은 지난 6월 대구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정부와) 안동댐 물에 대한 부분을 우선 협의하되 필요하다면 해평취수장도 배제하지 않겠다”며 “정부가 구미시장을 설득한다고 하고 있고, 구미시의 입장 변경이 전제된다면 구미시와도 논의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대구시가 특정 지역에 한정하지 않고 신속한 취수원 이전을 원하는 입장인 만큼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중재가 뒤따른다면 사업 추진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구미시가 해평취수장 안에 동의하면 사업이 신속하게 추진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정부 주도의 중재가 필요한 상황”이라면서 “이와 함께 (해평취수장 안 추진 시) 당초 계획보다 물 공급량을 상향할 것과 대구경북신공항에 대한 물 공급 대책 마련 등을 건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 민경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