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광역시장 인터뷰
전국 표준모델이 된 광주광역시의 혁신 정책들이 최근 화제를 모으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민선 8기 취임 이후 “익숙한 것과의 결별을 통해 새로운 광주를 만들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새로운 광주’를 꿈꾸는 강 시장을 27일 만나 선제적인 혁신 정책 추진 배경에 대해 들어 봤다.
강 시장은 “광주의 정책들이 전국 모델이 된 것은 우연이 아니다”라며 “시민 행복을 최우선으로 한 새로운 광주를 만들겠다는 꿈을 꿨기에 가능했다. 그랬기에 시민 눈높이에 맞는 철학으로 현장 중심의 정책을 만들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강 시장은 가장 먼저 ‘광주다움 통합돌봄’을 예로 들었다. 강 시장은 “돌봄은 단순한 복지 서비스를 넘어 민주주의 정책이자 시민의 삶 전체를 바꾸는 정책”이라며 “연령, 소득, 질병 여부와 관계없이 누구나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보편적 돌봄을 광주에서 전국 최초로 시작했다”고 말했다.
3선 국회의원을 지낸 강 시장은 의원 시절부터 기초노령연금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등을 제정하며 보편복지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그는 “기존 복지 모델인 ‘신청주의, 선별주의’로는 진짜 도움이 필요한 시민들이 사각지대에 놓일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며 “그래서 ‘돌봄콜’ 하나로 모든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각 행정동의 공무원이 직접 대상자를 발굴해 일대일 맞춤형 돌봄계획을 수립하는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광주다움 통합돌봄 정책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세계지방정부연합(UCLG)의 ‘국제도시혁신상’을 수상하는 영예도 안았다.
강 시장은 “혁신은 거창한 게 아니다”라며 “꾸준한 소통을 통해 시민의 목소리를 듣고 마음으로 느껴야 진짜 시민을 위한 정책이 나온다는 생각으로 늘 현장을 찾았다. 특히 함께해 준 공직자들의 노고 덕분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광주 홍행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