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다 힘들 땐 쉬어가세요”…서울시, 사당·종각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올해 서울에서 혼인신고한 부부, 연말에 100만원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장애인 사회 참여 기회 늘린다”…은평구, 장애인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여권 배달 왔어요”…서울 중구 사는 고령 및 장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동절기 장관감염증 환자 증가 올바른 손씻기 등 예방수칙 준수 필요(2.10.월)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동절기 장관감염증 환자 증가 올바른 손씻기 등 예방수칙 준수 필요




- 최근 10년 내 노로바이러스감염증 환자 수 최고 수준(1월 4주), 로타바이러스 감염증도 '24년 동기간(1월 4주) 대비 105% 증가 


- 영유아 연령층 위주 발생(노로바이러스 감염증 51.4%,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41.6%)


- 감염 예방을 위해 음식을 충분히 익혀 먹고, 올바른 손 씻기 등 위생수칙 준수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노로바이러스 감염증과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발생이 증가하면서, 영유아 연령층 환자 비중이 높아 영유아 및 관련시설(어린이집, 키즈카페 등)의 위생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 병원급(210개소)의 장관감염증 표본감시 결과,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수는 작년 11월 1주부터 지속 증가하여 1월 4주 기준 최근 10년내 최고 수준의 발생을 보였다. 


  * (2주, 1.5.-1.11.) 372명→ (3주) 390명→ (4주) 469명→ (5주, 1.26∼2.1) 347명(설 연휴로 환자수 감소 추정), 상세내용 붙임 2  




  특히 전체 환자 중 1세 미만이 9.2%, 1~6세가 42.2%로 0~6세의 영유아의 비중이 51.4%를 보였다.


 * (1세미만)9.2%, (1~6세)42.2%, (7~18세)21.3%, (19~49세)15.6%, (50~64세)5.1%, (65세 이상)6.6%




  노로바이러스감염증은 연례적으로 늦가을부터 이듬해 초봄(11월~ 3월)까지 주로 발생하며, 영유아(0~6세)를 중심으로 발생한다. 




  노로바이러스(Norovirus)는 감염력이 매우 강해 소량의 바이러스만으로도 감염을 일으키며, 일상적인 환경에서도 사흘간 생존이 가능하다. 또한, 바이러스 유전자형이 다양하고 감염 후 면역을 유지하는 기간이 최대 18개월 정도로 짧아 과거에 노로바이러스감염증에 걸렸더라도 다시 재감염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노로바이러스는 GII.4 유전형*이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가장 빈번히 검출되는 유전형이다. 매년 GII.4 이외에 GII.3, GII.2 등 다양한 유전형이 검출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GII.17 유전형이 국내뿐 아니라 유럽, 미국 등 국외에서 검출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 노로바이러스 유전자 군(group)은 10개(GI-GX)로 분류되며 GI과 GII가 인체감염을 일으킴. 각 군 내에는 다양한 유전형(genotype)이 있어 48여개의 유전형이 있음.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의 주요 감염경로는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지하수) 혹은 음식물(어패류 등)을 섭취한 경우이나, 환자 접촉을 통한 사람 간 전파 혹은 환자 구토물의 비말에 의한 감염도 가능하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12~48시간 안에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사람에 따라 복통, 오한, 발열이 나타나기도 한다.




  예방을 위해 손 소독제보다는 비누를 사용하여 30초 이상 손을 씻고, 식재료를 흐르는 물에 세척하여 85℃ 이상에서 1분 이상 충분히 익히는 등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조리된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노로바이러스감염증 환자는 증상이 사라진 후 48시간까지 등원, 등교 및 출근을 자제하고, 화장실을 비롯한 생활공간을 다른 가족과 구분하여 생활해야 한다. 또한, 화장실 사용 시 배변 후 물을 내릴 때 변기 뚜껑을 닫아 비말로 인한 노로바이러스 확산을 차단하도록 해야 한다. 




  동절기에 유행하는 장관감염증 중 노로바이러스감염증 증가 이후에 발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이듬해 봄철까지 유행하는 장관감염증으로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이 있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수는 코로나 19 이전 시기의 정점 대비 낮은 수준이나, 1월 4주 기준 작년 대비 105%의 증가세*를 보였다.


  * (2주, 1.5.-1.11.) 131명→ (3주) 114명→ (4주) 123명 → (5주, 1.26∼2.1) 106명(설 연휴로 환자수 감소 추정), 상세내용 붙임 2  


  * 4주차 기준 ('24년) 60명 → ('25년) 123명으로 105% 증가




 전체 환자 중 1세 미만이 9.8%, 1~6세가 30.9%로 0~6세의 영유아의  비중이 40.7%를 보였다.


  * 4주 기준 (1세 미만) 9.8%, (1~6세)30.9%, (7~18세)17.1%, (19~49세)13.8%, (50~64세) 9.8%, (65세 이상) 18.7%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역시 노로바이러스감염증과 주요 감염경로는 유사하고, 감염 시 24~72시간 안에 구토, 발열, 수양성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보통 4~6일 정도 유지된다. 




  로타바이러스는 특히 기저귀나 장난감 등에 묻은 오염물로부터 손과 입을 통해 쉽게 전파되기 때문에 신생아실, 산후조리원 및 어린이집 등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을 위한 감염 관리가 필요하며,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한 집단시설의 철저한 환경 관리가 중요하다. 




  노로바이러스와 로타바이러스 모두 환자가 사용했던 공간이나 화장실, 환자 분비물(분변 또는 구토물)에 오염된 물품은 시판용 락스를 희석(락스 1: 물 50)하여 묻힌 천으로 닦아내어 소독하고, 환자의 분비물을 제거할 때에는 비말을 통해 감염되지 않도록 마스크(KF94)와 장갑을 반드시 착용하도록 해야 한다.


 ※ 소독은 손이 닿는 물체(문 손잡이, 수도꼭지 등)를 중심으로 닦아내고, 세탁물은 70℃ 이상에서 세탁하거나, 락스 희석액(락스1: 물 330)으로 5분 이상 헹굼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은 국가예방접종으로 영아에게 무료 백신 접종을 지원하고 있다. 접종 백신의 종류에 따라 접종 횟수와 일정에 차이(로타릭스 2·4개월/로타텍 2·4·6개월)가 있으며, 1차 접종 이후에는 동일 종류의 백신으로 접종을 지속해야 한다. 




<로타바이러스 국가예방접종 백신 및 일정>




접종 백신


접종 횟수


접종 일정


최소 접종 간격


로타릭스 (RV1)


2


생후 2, 4개월


4


로타텍 (RV5)


3


생후 2, 4, 6개월






  백신 접종이 가능한 위탁의료기관은 및 보건소는 예방접종도우미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하다.


  * 접종기관 안내 :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https://nip.kdca.go.kr) → 예방접종관리 → 위탁의료기관 찾기




  로타바이러스감염증 환자는 증상이 사라진 후 24시간까지 등원, 등교 및 출근을 자제하고, 노로바이러스감염증과 마찬가지로, 조리종사자나 보육시설·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증상이 있는 환자는 증상이 소실 후 48시간까지 근무를 제한해야 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동절기에 노로바이러스·로타바이러스 등에 의한 장관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특히 손씻기와 안전하게 조리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당부하면서, "개인위생을 스스로 지키기 어려운 영유아에서 많이 발생하므로 학부모와 선생님이 일상생활에서 영유아들이 올바른 손 씻기를 잘 실천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도를 해줄 것"을 강조하였다.




<장관감염증 행동수칙>


일상생활 시


환자 발생 시


올바른 손씻기(외출 후, 식사 전, 배변 후, 30초 이상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씻기)


채소·과일은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 먹고, 껍질은 벗겨 먹기


음식물은 충분히 익혀 먹기(85이상에서 1분 이상 가열)


끓인 물 마시기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 ·도마는 소독하여 사용


- 조리도구는 구분(채소용, 고기용, 생선용)하여 사용


환자는 증상 소실 후 48시간(로타바이러스의 경우 24시간) 이상 등원, 등교 및 출근 제한 권고


환자와 공간을 구분하여 생활하도록 권고


배변 후 변기 뚜껑을 닫고 물을 내리기


환자가 발생한 경우 구토물, 접촉환경, 사용한 물건 등에 대한 염소 소독


- 가정용 락스 희석액(락스1: 50)으로 염소 소독


- 세탁물은 70이상에서 세탁하거나, 락스 희석액 (락스1: 330)으로 5분 이상 헹굼


올바른 손씻기로 개인위생 준수






<붙임>  1. 겨울철 유행 주요 장관감염증 감염증 개요


         2. 겨울철 유행 주요 장관감염증 발생 현황


         3. 노로바이러스 및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발생 시 소독 방법4.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수칙 홍보자료(포스터)


         5.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 홍보 포스터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