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잡곡밥 있는 ‘통쾌한 한끼’ 식당 찾는다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서초 “잦은 호우·저지대 침수 선제 대응”… 전국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은평, 지역보건의료계획 ‘복지부 장관상’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노원구, 오감 만족 수변 감성 카페 ‘당현 마루’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보도자료] 불법사금융 근절 범정부 TF 개최 보도자료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불법사금융 근절을 위해 총력 대응하겠습니다. -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생명과 안전이 우선인 나라" 구현 선결과제 -




▶ 이재명 정부 첫 번째 「불법사금융 근절 범정부 TF 회의」 개최




▶ 불법사금융에 이용된 전화번호뿐 아니라 SNS 계정도 차단




▶ 채무자대리인 선임 신청만으로도 추심 중단




▶ 기발생한 피해금에 대한 국가의 직접 환수 및 피해자 환부 근거 마련 추진








□ 정부는 9.11일 국무조정실 2차장(김용수) 주재로 이재명 정부 첫 번째 「불법사금융 근절을 위한 범정부 TF」를 개최하였다.




·(일시/장소) 9.11.(목) 10:00~11:00 / 정부서울청사 별관 3층 국제회의실


·(참석자) 국무2차장(주재), 금융위원회, 경찰청, 법무부, 대검찰청, 과기정통부, 방통위, 국세청, 금감원, 법률구조공단, 서민금융진흥원, 방심위, 서울시, 경기도






1. 개최 배경




□ 정부는 서민의 재산과 일상생활을 위협하는 불법사금융 근절을 위해 '22.8월부터 범정부 TF를 운영하여, 관련 제도를 꾸준히 개선해 왔다.




□ 그럼에도 불법사금융은 범죄 형태를 변형해 가며 국민의 생활속에 지속 확산되는 상황*이다.




* 금감원 불사금 피해신고센터 신고건수 : ('22)10,350 → ('23)12,884 → ('24)14,786 → ('25.1~6) 7,882






<최근 불법사금융 세력의 영업행태 변경 실태>




❶ 적발 가능성이 높은 대면·전화영업 대신, 온라인(포털사이트 광고, SNS 등)을 통한 비대면 영업 증가




❷ 등록대부업 명의를 끼고 실제로는 불법사금융을 제공하는 기망성 거래 발생




❸ 채무자의 신고 가능성을 사전 차단하기 위해 대출계약 시점부터 각종 불법정보·서류* 등을 징구하고, 추후 추심시 채무자 협박 수단으로 악용




* (예) 계약시 얼굴사진 요구 및 지인 연락처 확보 → 연체시 나체사진 요구· 지인연락 등을 통해 채무자 압박




2. 새 정부의 향후 불법사금융 근절 추진계획




□ 정부는 불법사금융 관련 피해가 전개되는 과정을 4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대응 방안을 마련하여 철저히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1. 불법사금융 피해 예방 및 차단의 효율성 제고




□ 저신용 취약계층이 불법사금융이 아닌 제도권 금융을 통해 자금 수요를 충당할 수 있도록 정책서민금융 및 민간서민금융 공급을 더욱 확대한다.




ㅇ 현재 서민금융진흥원은 불사금 이용 유인이 큰 저신용층 맞춤형 대출인 "불법사금융예방대출"과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공급을 적극 추진중이다.




- '26년도에는 정부재정 정책서민금융* 공급규모를 2.63조원으로 확대하여 ('25년 : 2.33조원) 취약계층의 자금수요를 보다 두텁게 지원할 계획이다.




* 최저신용자특례보증, 햇살론유스, 햇살론15 등 포함




ㅇ 저축은행에 햇살론1), 민간 중금리대출2) 공급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제도권 서민금융기관의 금융공급 확대 노력도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1) 저축은행의 영업구역 내 의무여신비중 산출시 햇살론에 1.5배 가중치 부여


2) 저축은행의 대출/예금비율(100% 이내 의무) 산정시 민간중금리대출을 대출액에서 일부 제외


(☞ 상호저축은행업 감독규정 등 개정을 거쳐 빠르면 '25.4분기부터 시행)


서민들을 불법사금융으로 유인하는 주요 유통경로로 악용되는 온라인 불법 금융광고·정보에 대한 감시·차단을 지속 강화한다.




ㅇ 온라인 플랫폼사들의 불법금융광고·정보 차단 자율규제* 운영실태를 점검하고, 未도입 플랫폼사의 자율규제 마련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계획이다.




* 현재 카카오·네이버·구글 등 온라인 플랫폼사들은 자사 포털상에 등재되는 불법금융광고·정보 차단을 위한 자율규제 시스템을 운영중




ㅇ 이미 게재된 불법금융광고·정보에 대해서는 현재 금감원(요청)-방심위(심의) 간 심의연계시스템을 통해 시정요구 등 조치를 취하고 있다.




- 앞으로는 금융당국이 불법성이 명백하다고 판단하여 신속 차단을 요청한 건에 대해서는 방통위가 즉시 시정요청*을 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26년 1/4분기중 「정보통신망법」 개정안 발의 추진)을 추진할 계획이다.




*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시정요청과 함께 방심위에 불법정보 심의도 요청




□ 온라인 대부중개사이트가 불사금업자의 대출소비자 접근 경로로 악용되지 않도록 사이트 상의 개인정보 판매, 개인정보 유출 등을 철저히 감독한다.




ㅇ 대부중개사이트가 개정 대부업법*('25.7.22. 시행) 등 관련 법령을 준수하는지 금융당국이 현장점검하고, 위반사항 발견시 엄중 제재할 계획이다.




* ⓛ 누구라도 대부이용자의 개인정보 판매시 형사처벌 (징역5년 or 벌금2억원 이하)


② 대부중개사이트 등록신청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등을 위해 정보보호시스템 구비 의무




이미 불법사금융에 사용된 전화번호, SNS 계정 등은 즉시 차단하여 피해 지속 및 재발을 방지한다.




ㅇ 개정 대부업법(25.7.22. 시행)에 따라, 불법사금융 행위에 이용된 전화번호는 관계기관 요청을 거쳐 과기정통부장관이 신속히 차단하고 있다.




ㅇ 불사금업자가 주된 연락수단을 SNS로 변경하는 규제 회피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불법사금융에 사용된 주요 SNS 계정에 대해서도 플랫폼사(카카오톡, LINE) 자율규제('25.6월~)를 통해 이용중지 조치를 가동중이다.




※ 불법사금융 이용 카톡계정 이용중지 운영 프로세스(카카오톡, LINE)


☞ ➊카카오톡·라인 어플(신고하기 기능) 및 ➋금감원 홈페이지를 통해 신고 가능




- 앞으로 카카오·라인 외에 다른 주요 SNS 계정까지 자율규제 확대를 유도하여 불사금업자의 규제회피 수단을 철저히 차단할 계획이다.






2. 피해 발생시 피해자 보호 강화




□ 채무자대리인 선임을 확대하고 추심인에게 선임 예정 사실을 사전 통보하여 채무자를 불법추심의 고통에서 신속히 구제한다.




ㅇ 정부는 불법사금융 피해자를 대상으로 무료 채무자대리인* 서비스(법률구조공단)를 지원중이다. 최근 추심행위가 주로 SNS를 통해 이루어짐을 반영하여, '24.11월부터는 SNS를 통해서도 채무자대리인 선임 통보가 가능하도록 개선하여 지원 범위가 대폭 확대**되었다.




* 채무자를 대신하여 채권추심에 대응하는 대리인 → 채무자대리인 선임시 채권자의 채무자 직접추심이 금지됨(채권의 공정한 추심에 관한 법률§8의2)


** 연도별 채무자대리인 지원실적(건) : ('21)4,841 ('22)4,510 ('23)3,249 ('24)3,096 ('25.1~7.)5,241




ㅇ 앞으로는, 금감원이 불법추심자에게 선임예정 사실을 구두 또는 문자로 사전통보하여 채무자대리인 선임 신청 즉시 바로 불법추심이 중단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추심인이 채무자대리인 선임 이후에도 채무자에게 지속 연락하는 경우에는 형사처벌(☞'25년 하반기중 「채권추심법」 개정안 발의 추진)이 가능하도록 하여 억제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추심인이 피해자에게 물리적 위협을 가하는 경우, 경찰 신고 후 경찰의 피해자 안전조치 및 가해자 경고조치를 통해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한다.






3. 불법사금융 범죄수익 환수 및 피해자 환급 확대






□ 대부업법 개정(25.7.22. 시행)으로 불법사금융 계약의 이자 또는 원리금 전체가 무효화*된 만큼, 피해자가 불사금업자에게 부당하게 납입한 이자 또는 원리금을 돌려받을 수 있도록 무효확인소송을 적극 지원한다.




* ⓛ 反사회적 대부계약(폭행, 협박 등 원인 체결), 年 60% 초과 이자계약 : 원리금전체 무효


② 기타 불법사금융계약 : 이자 무효




ㅇ 피해자가 금감원에 채무자대리인을 신청*할 때 불법대부계약 무효화소송 상담도 가능하도록 하고, 특히 중·저소득 채무자(=기준중위소득 125% 이하)의 경우 무효화 소송까지 무료로 지원하도록 한다.




* [신청 방법] 금감원 "불법사금융 지킴이" 사이트 접속 → "불법사금융 피해구제" 클릭 → "채무자대리인 및 반사회적 불법대부계약 등 소송대리 무료지원 신청" 배너 클릭




나아가, 피해자가 소송으로 피해금액 반환을 청구할 필요 없이 국가가 직접 범죄수익을 몰수한 후 피해자에게 환부할 수 있는 법적근거 마련도 함께 추진한다.(☞'25년 하반기중 「부패재산몰수법」개정안 발의 추진)




피해구제를 넘어 피해자의 일상 회복을 도울 수 있도록 금융, 고용, 복지, 법률 등 다양한 생활 지원 프로그램도 연계한다.




ㅇ 8월부터 개시한 '공공마이데이터 활용 맞춤형 복합지원'에 따라, 피해자가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방문하면 고용(취업지원)-복지(생계비 지원)-금융(정책서민금융, 채무조정) 등을 종합 상담받을 수 있다.




ㅇ 나아가 금감원-서민금융진흥원-신용회복위원회 간 지원대상자 정보 연계 ('25.12월 예정)를 통해 불법사금융 피해자가 금감원에 피해신고를 하면 긴급생계자금 및 금융권 채무조정 등도 신속히 지원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4. 범죄세력에 대한 수사 및 처벌 강화




□ 경찰은 전국 253개 경찰서에 불법사금융 전담수사팀을 운영('24.11월~)하여 불법사금융 범죄자 검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검거실적*이 지속 높아지고 있다.




* (불법사금융범죄 검거건수) ('23년)1,404 ('24년)1,977 ('25.1~7월)1,934




ㅇ 앞으로도 수사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국민들이 범죄 사례를 숙지하여 유사 피해를 예방하실 수 있도록, 범죄사례 및 예방방법을 안내하는 보도자료도 수시로 배포할 계획이다.




대부업법 개정('25.7.22.)에 따른 법정 최고형량 상향* 및 내부 구형기준 상향에 따라 검찰도 불법사금융 범죄세력에 대해 엄격한 형량을 구형하여 엄벌 조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미등록영업) 징역 5년, 벌금 5천만원 이하 → 징역 10년, 벌금 5억원 이하(정부·금융기관 사칭) 과태료 5천만원 이하 → 징역 5년, 벌금 2억원 이하(최고금리) 징역 3년, 벌금 3천만원 이하 → 징역 5년, 벌금 2억원 이하






◇ 불법사금융은 대표적인 민생침해 범죄로서 이를 근절하는 것은 이재명 정부 국정목표인 '생명과 안전이 우선인 사회' 달성의 핵심 선결과제




⇨ 정부는 앞으로 세부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현장을 꼼꼼히 모니터링하면서 추가적인 제도개선 필요사항도 지속 발굴할 계획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서울런, AI 활용 맞춤형 대입 컨설팅… 초교부터

오세훈 “꿈·성장 플랫폼으로 키울 것” 내년부터 고교생 2000명 시범 운영 ‘진로 캠퍼스’는 청년까지 500명 대상 의사 등 전문직, 대학생 멘토단 구성 대상자 중위소득 80% 이하로 확대

유진상가·개미마을 재개발까지… 노후 정비사업 속도

이성헌 구청장 “서북권 랜드마크”

중랑 “요양보호사 처우개선비 드립니다”

연 1회 5만원 복지포인트 지급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