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예비 창업자 등 30개 팀 사업화 지원 대상 선정…간담회 개최 -
위치정보 기반 새싹기업(스타트업)과 청년?예비 창업자, 중소기업 등 30개 팀이 정부로부터 개발 비용 및 종합 컨설팅 등 지원을 받는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진숙)는 11일 '2025 코리아 위치기반서비스(LBS) 새싹기업(스타트업) 챌린지' 공모전 심사 결과를 발표하고, 사업화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청년 예비 창업자와 새싹기업(스타트업) 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서울에서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는 위치정보 분야 창업을 꿈꾸는 청년들의 진솔한 이야기와 지원 필요 사항, 위치정보 새싹기업(스타트업) 사업가들의 애로사항 및 기대 사항을 직접 듣고 향후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방통위는 앞서 지난 7월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과 함께 혁신적인 위치기반서비스(LBS;Location Based Services)의 창업 및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2025 코리아 위치기반서비스(LBS) 새싹기업(스타트업) 챌린지' 공모전을 진행했다.
창의적인 위치기반서비스 아이디어를 제시한 청년?예비 창업자 10개 팀과 새싹기업(스타트업) 사업자 20개 팀 총 30개 팀이 사업화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
이날 간담회 행사에서는 전년도 공모전 수상 기업의 사업화 요령과 성공 비법(노하우) 특강, 사업자 간 협력망 구축(비즈니스 네트워킹) 프로그램도 진행돼 초기 창업가에게 필요한 현실적 조언과 동기를 제공하고, 위치정보 사업자 간 협업 시간도 가졌다.
향후 선정된 30개 팀에게는 개발 비용 지원, 서비스 고도화 컨설팅, 체험단 운영, 사업자 역량 강화 교육, 지식재산권 확보 등 사업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방통위는 위치정보가 디지털 산업의 핵심 요소이자 공공안전과 직결되는 사회적 자산임을 감안해 이번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들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위치기반서비스의 성장 지원 및 위치정보 산업 생태계 역량 강화를 위해 지속 노력할 계획이다.
한편, 기존 심사 결과에 사업화 지원 결과를 더해 '아이디어' 분야 3개 팀, '사업화 지원' 분야 10개 팀 등 총 13개 팀을 최종 선발해 올 연말 개최되는 '2025 코리아 위치기반서비스 데이(2025 Korea LBS Day)' 행사에서 상장과 상금을 수여할 예정이다.
붙임. 2025 Korea LBS 스타트업 챌린지 공모전 심사 결과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