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한의난임사업 성과대회' 개최 (9.12.) -
보건복지부(장관 정은경)와 한국한의약진흥원(원장 직무대행 이화동)은 9월 12일(금) 「2025 한의난임사업 성과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행사에는 보건복지부와 한국한의약진흥원, 유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 80여 명이 참석하여 전국 지자체의 한의난임사업의 성과를 공유하고 우수사례와 유공자를 표창하였다.
한의 난임치료는 한약, 침, 뜸 등을 활용하여 개인의 체질과 건강 상태에 맞춘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임신을 위한 신체·정신 건강 개선과 더불어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한다.
지자체 자체 사업으로 시행되고 있는 한의난임사업은 현재 201개 기초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고 있으며, 난임 여성 또는 부부에게 3~6개월간의 한약치료와 검사·상담 비용 등을 지원한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지역 보건소(시군구청)를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한의약진흥원은 이러한 지자체 사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성과를 확산하기 위해, 올해부터 '한의 난임치료 확대 및 모니터링 평가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성과대회는 그 일환으로 마련되었다.
우수사례로는 사업부문에서 5개 지역이, 기고부문에서는 3명의 개인이 선정되었으며, 한의 난임치료 지원사업에 기여한 공이 인정된 9명에게는 유공자 표창이 수여되었다.
더불어, 대한여한의사회의 특별 강연을 통해 초음파를 활용한 한의 난임치료의 여러 임상사례를 공유함으로써, 한의 난임치료가 주관적 증상 완화뿐만 아니라 생식 건강을 개선하여 임신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 사례를 보여주었다.
< 지원 대상자 기고문 우수사례 – 소중한 생명의 씨앗, 한방에서 찾은 희망 >
◈ 2022년 결혼 이후 수년 동안 병원 치료와 시술에도 아이가 생기지 않아, 삶의 활력을 잃고 있었는데, 우연히 해남군 보건소의 '난임 부부 한방 지원사업'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한방치료는 익숙하지 않고, 비용 부담이 클 거 같아 망설였지만, 지자체에서 비용 대부분 지원된다고 하여 신청하게 되었다.
한의사 선생님께서 냉증이 심하고 기혈 순환이 잘 되지 않는 체질이라는 진단을 해주시고, 한약 복용 및 식습관 조절, 생활 리듬 개선까지 이어졌다.
4개월간의 한의 치료 후 임신에 성공하게 되었고, 예쁜 공주님이 태어난 지 6개월이 되었다. 치료 과정에서 꾸준히 한약을 복용하고,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해주신 한의원과 보건소 직원분들께 너무 감사한 마음이다.
정영훈 한의약정책관은"한의난임사업에서의 정부의 역할 강화로 난임 부부의 희망을 실현하고 출산율을 높여 국가의 초저출생 문제 극복에도 기여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2024년에 한의난임사업을 추진한 지자체의 사례는 '2024년 한의난임 사업 사례집'으로, 사업 참여자들의 사례 기고문은'한의난임사업 사례 기고집'으로 제작되어 올해 하반기 한국한의약진흥원 홈페이지*에 게재될 예정이다.
* (누리집) https://nikom.or.kr/kmp/index.do
<붙임> 1. 한의난임사업 개요
2. 성과대회 우수사례 및 수상 명단
3. 2025 한의난임사업 성과대회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