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지역 등 141개 시군구, |
- 50개 중앙부처, 141개 시군구와 자매결연 매칭 - 공공기관·민간기업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범부처 협업 지속 |
□ 정부는 9월 15일(월), 내수경기 진작과 지역 활력 제고를 위해 범부처 협업으로 '지방살리기 상생 자매결연'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 '지방살리기 상생 자매결연'은 제33회 국무회의(7.29.) 및 경제관계장관회의(8.7.)에 상정된 지방살리기 상생 소비 활성화 방안 중 하나다.
ㅇ 최근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으로 소비세가 회복되고 있으나, 비수도권 등 지역경제는 상대적으로 회복이 더딘 만큼 이를 극복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 앞으로 중앙부처와 공공기관, 민간기업은 인구감소지역·재난피해지역 등 141개 시군구와 자매결연을 맺고 실천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다방면의 교류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광역시와 수도권을 제외한 시군구(세종, 제주 포함) : 122개 비수도권 광역시 中 인구감소(관심)지역(부산동구,서구,영도구, 대구남구,서구 등) : 12개 수도권 내 인구감소(관심)지역(경기가평,연천,동두천, 포천, 인천강화,옹진,동구) : 7개 |
ㅇ 한편,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남 곡성군, 전남 해남군, 강원 고성군, 경북 영덕군 4개 지자체와 자매결연을 맺고 지역 특산품 구매, 휴가철 방문 독려 등을 통해 지방 살리기에 적극 동참할 예정이다.
□ 시군구 각 1곳당 2개 이상 기관과 연결되는 것을 목표로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 기획재정부는 공공기관, 산업통상자원부는 민간기업의 자매결연을 각각 지원하고 행정안전부가 이를 총괄 관리한다.
□ 중앙부처는 지방살리기 상생 자매결연을 선도하는 차원에서 중앙부처와 대상 시군구 간 매칭을 빠짐없이 추진하고, 공공기관과 민간기업들의 자율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그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ㅇ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를 대상으로 자매결연 희망 지자체에 대한 수요조사를 하고, 각 부처가 부처 특성 등을 고려해 제출한 희망 지역에 기반하여 50개 중앙부처와 141개 대상 시군구 간 매칭을 모두 완료하였다.
ㅇ 기획재정부는 331개 전체 공공기관 대상 참여희망 여부, 협업 계획 등 수요를 조사한 결과 약 50개 기관에서 신규 체결 의사를 밝혔으며, 60여 개 기관에서는 기존에 자매결연을 체결한 지역에서 교류 활동을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ㅇ 산업통상자원부는 경제단체*를 통해 민간기업에 자발적 동참을 권고하고 있으며, 약 20여 개 기업에서 사업장 소재지 중심으로 전통시장 구매, 지역축제 후원, 명절선물 구입 등의 참여 의사를 밝혔다.
* 한국경제인협회,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등
□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를 시작으로 자매결연 정책이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에도 확산되고, 일회성 이벤트를 넘어 지속적인 상생 관계로 이어질 수 있도록 범부처 협업 하에 우수·미담사례를 홍보하고 애로사항을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ㅇ 아울러,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자매결연 희망 시 이를 지원하는 등 그 범위를 더욱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실제로 일부 부처에서 더 많은 지자체와 자매결연 체결 의사를 보이고 있고, 일부 지자체에서는 특정 부처와 자매결연을 맺을 것을 역제안하는 등 좋은 반응이 이어지고 있어 향후 활발한 교류와 성과가 기대된다.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번 자매결연이 민간기업과 지역 간 상생교류가 활발히 이어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면서, "기업과 지역의 상생교류 확대가 지방소비를 촉진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