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공존의 새로운 한반도 길
모색
-
9.18(목)~19(금), 「2025 국제 한반도 포럼(GKF)」 개최 -
□ 통일부는 9월 18일(목)~19일(금), 양일간에 걸쳐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공존으로의 전환(Toward Peaceful Coexisten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을 주제로 「2025 국제 한반도 포럼(Global Korea Forum, 이하 'GKF')」을 개최한다.
o 동 토론회는 2010년부터 통일부가 개최하고 있는 정부와 민간인사가 함께 참여하는 국제회의로, 그간 주요국 정부
관계자, 국내외 한반도 및 남북관계 전문가들이 모여,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관한 국제사회 담론을 주도하는 공론의 장으로서
역할을 해왔다.
o 특히 올해 토론회에서는 한반도 평화 및 남북관계 발전을 지향하는 이재명 정부의
대북·통일정책에 대한 국내외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관련 분야별 전문가 외에도 인문학자, 문화계 인사 등 여러 분야의 인사들을
초청하여 국민들에게 다가가는 행사로 추진한다.
□ 이번 토론회는 광복 80주년 계기, 독립과 평화의
의미 및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핵심 정신을 공유하기 위해 양일에 걸쳐 분야별 전체 회의, 전문가 동시 모임 등 다양한 일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o 9.18.(목) 첫 번째 전체 회의에서는 「정의란 무엇인가」, 「당신이 모르는
민주주의」 등 인기 책의 저자 '마이클 샌델'을 초청, '민주주의의 위기와 평화공존의 과제'를 주제로 공정과 정의, 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남북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정의'를 찾는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o
9.18.(목) 두 번째 전체 회의에서는 주요국 석학들을 초청, 격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한반도와 동북아시아가 마주한 구조적
도전을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평화공존의 전략적 방향을 모색할 예정이다.
o 9.19.(금) 세 번째
전체 회의에서는 김희중 대주교와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의 저자인 채사장이 참여, '치유와 화해'를 주제로 한반도
평화 담론에 있어 정서적 기반과 공동체 회복의 중요성을 조명하고자 한다.
o 이 외에도 △남북 교류협력 △한반도 평화공존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발전 방향 △국가 안보전략 △시민사회의 역할 등 여러 주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다양한 시각 및 접근 방법을 공유할 예정이다.
□ 통일부는 이번 토론회를 통해 '평화공존·공동성장의 한반도'에 대한 전망을 국제사회에 널리 확산시키고, 우리의 대북정책에 대해 국내외의 공감대를 확대해 나갈 것이다.
붙임 : 「2025 국제 한반도 포럼(GKF)」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