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자격 국가공인 제도를 맡고 있는 교육인적자원부 관계자는 7일 “현재 집계된 민간자격증은 총 560여종으로 매년 100여건 이상의 국가공인 신청이 접수되지만 공인을 받는 확률은 10% 미만에 불과하다.”면서 “앞으로는 민간자격 공인신청 대상을 법인으로 한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이날 국가공인 민간자격을 신청한 116개 민간자격 가운데 7개를 공인했다고 밝혔다.이로써 국가공인을 받은 민간자격증은 총 46개로 늘었다.
새로 국가공인을 받은 민간자격은 한자교육진흥회의 한자실력급수,한국외국어평가원의 실용한자,대학민국한자교육연구회의 한자급수자격검정,이에스피평가아카데미의 영어회화능력평가시험,한국직업연구진흥원의 샵마스터(백화점 매장 책임자),한국정보보호진흥원의 정보보호전문가,한국행정관리협회의 행정관리사 등이다.
부처별로는 교육인적자원부 소관의 자격이 3개,산업자원부 1개,정보통신부 1개,행정자치부 1개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들 공인 자격증은 자격지원법이 규정하고 있는 개설된 지 1년 이상된 자격,3회 이상의 검정시행 실적 등의 요건을 충족한 종목들”이라면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현장조사와 산업계의 수요 등 검증을 거쳐 최종 공인을 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가공인의 유효기간이 올 1월로 끝나는 자격 6종목이 재공인을 받아 최고 4년까지 유효기간이 연장됐다.
재공인을 받은 종목은 한국금융연수원의 신용분석사,대출심사역,국제금융역과 한국외국어평가원의 실용영어,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의 네트워크관리사,한국생산성본부의 정보기술자격시험 등이다.
또 한국세무사회의 전산세무회계는 1∼4급까지의 기존 급수체계가 전산세무1·2급,전산회계1·2급으로 나뉘어 변경 공인됐다.
강혜승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