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의 열쇠는 정직과 신용
|
사반세기 열쇠 인생을 살아온 박영배씨가 열… 사반세기 열쇠 인생을 살아온 박영배씨가 열쇠만드는 시범을 보이며 웃고 있다. 남상인기자 sanginn@seoul.co.kr |
강남 진출 10년만인 85년에는 번듯한 상가 건물로 입주했고,2년쯤 뒤에는 자신 소유의 점포까지 얻었다.현재 강남의 45평 아파트에 거주하며 직원만 13명인 열쇠가게의 사장이다.그가 운영하는 ‘전진열쇠’의 월 매출액은 5000만원을 웃돌며 사장의 월급만도 1000만원에 이른다.성공 비결로 손님에게 바가지를 씌우지 않는 정직한 상도와 전국에서 유일한 365일 24시간 서비스 체계를 꼽았다.전진열쇠는 한 번 잠금장치를 설치하면 설치 날짜와 기술자를 기입하고 끝까지 책임을 진다.3∼4년 전에는 열쇠 쇼핑몰까지 만들어 전자상거래에도 진출했다.‘열쇠비밀’ 등 열쇠 관련 책도 두 권이나 냈다.
●자물쇠 푸는 데는 근성이 필수
박씨의 성공에는 끈질긴 승부욕과 근성도 한몫 거든다.지난 83년 국내의 한 열쇠제작사가 외국 회사와 제휴,3중 잠금장치로 이뤄진 카드키를 내놓았다.이 회사는 제작과 설치뿐만 아니라 수리까지도 회사에서 도맡았기 때문에 열쇠업자들은 사실 할 일이 없었다.“카드키를 열면 요구하는 대로 다 들어주겠다.”고 호언했던 열쇠제작사는 박씨가 작동 원리를 밝혀내자 “질이 나쁜 사람”이라고 몰아 붙였다.박씨는 기자들이 지켜보는 앞에서 반포 미도아파트 등 무작위로 선정된 집의 카드키를 열었다.‘카드키 안전성 믿을 수 없다.’는 기사가 나왔다.“열쇠는 거의 다 열 수 있습니다.도구를 이용해서 여는 것이죠.영화를 보면 청진기를 이용해서 여는데 국내에서 듣는 것만 가지고 잠금장치를 여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죠.”
열쇠와 무관하게 겪어야 하는 일도 부지기수다.자살을 시도하던 사람들을 자주 만났다.문을 열고 들어가면 자살한 사람의 시체가 눈 앞에 놓인 적도 있다.부부싸움에 휘말려 문을 열지도, 잠그지도 못한 사연도 있다.또 경찰에 어떤 식으로 문이 열렸다는 방법을 조언해 범인을 잡은 적도 있다.
●“자격증 제정에 힘쓸 터”
“열쇠를 다룬다면 사람들은 대체 형무소에는 몇 번이나 갔다 왔냐고 되묻죠.외국에서는 고급 기술자로 대접을 받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도 인식이 별로 좋지 않아요.” 이런 인식을 바꾸기 위해 협회 내 열쇠가게들은 신원이 확실한 사람만 채용한다.또 권익보호를 위해서 지난 90년에는 임의단체로 있던 협회를 사단법인으로 정식 허가까지 받았다.하지만 90년대 초부터 추진한 민간 공인자격증은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과제다.협회는 회원들을 재교육시키고 민간 자격증 시험에 대비해 관련 서적까지 펴냈다.
“아직까지 열쇠기술자는 공인 기술자로 대접받지 못하고 있습니다.자물쇠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주는 중요한 것인데 관련 법규조차 없죠.”
현재 전국에 2만여개로 추정되는 열쇠가게 가운데 협회에 등록된 업체는 3000곳에 불과하다.협회 차원에서 6월 말∼7월 초에는 열쇠학원을 설립할 예정이다.요즘은 열쇠기술로 취업할 수 있는 범위가 호텔에서부터 자동차경정비업소까지 무척 다양해졌다.
“열쇠의 기술도 바뀝니다.장기적으로는 대학이나 기능대학에 열쇠과를 만들 계획입니다.유능한 열쇠인들은 중국이나 캐나다 등 외국에 진출해 성공한 사례가 많죠.”
이유종기자 bel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