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고용 우선… 경기 불황 여전
시 “한화·삼성重, 지역 책임 다해야”
삼성중공업 3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13.4% 증가한 2조 6000억원, 한화오션은 11.8% 늘어난 3조 234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각각 2381억원(98%), 2898억원(1032%)으로 큰 폭 증가했다. LNG 사업과 ‘마스가(MASGA) 프로젝트’ 등으로 전망도 긍정적이다.
거제시는 ‘조선업 호황’과 달리 인구가 2016년 25만 7000여명을 정점으로 감소해 23만명 선이 위협받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9월 기준 실업률은 3.4%로 전국 평균(2.1%)을 웃돈다. 조선소가 인접한 옥포 지역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35.1%로 전국 평균(13.4%) 세 배 수준이다.
반면 외국인 노동자 수만 2021년 5400여명에서 지난 8월 기준 1만 5700여명으로 늘었다. 시는 조선사들이 비용 절감을 이유로 내국인·청년층 대신 저임금의 외국인 노동자를 우선 고용하면서, 조선업 호황 파급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임금 상당액이 해외로 송금되는 외국인 중심 고용 구조는 지역 정착·주거·소비와는 동떨어져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변광용 거제시장은 지역상생발전기금을 주요 공약으로 내걸고 추진 중이다. 거제시·한화오션·삼성중공업이 5년간 총 1500억원을 출연해 노동자 처우 개선과 내국인 채용 인센티브 지급 등에 사용하자는 구상이다.
시는 과거 조선업 위기 당시 적극적으로 산업 붕괴를 막았던 사례를 근거로 기업 참여의 정당성을 강조한다. 실제 시는 국내 최초로 ‘거제형 조선업 고용유지 모델’을 도입해 조선소 숙련 노동자 7000여명의 실직을 막아냈고 고용위기지역 지정 기간(2018~2024) 동안 총 935억원의 지원을 끌어냈다. 고용위기지역 종료 후에는 400억원 규모 재직자 희망공제사업도 추진했다.
거제 이창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