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침체의 여파로 부업이나 소규모 창업에 뜻을 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대박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인터넷 창업 동호회는 충실한 안내자다.
하지만 쏟아지는 창업정보는 ‘무엇을 해야 할까.’에 대한 고민을 가중시킨다.사실 어떤 사업이 ‘최소 비용의 최대 효과’에 적합할지 판단이 잘 서지 않는다.자칫 사기에 휘말릴 우려도 있다.
●꼼꼼한 정보체크가 성공의 지름길
인터넷에 ‘창업’을 입력하고 관련 동호회를 검색하면 수십개가 떠오른다.웬만한 커뮤니티는 가입자수가 이미 수만명을 넘었다.활동은 온라인에서 출발하지만 ‘알짜’ 정보교환 등은 정기모임에서 이뤄진다.
성공 노하우는 대개 고수들의 경험담에서 나오기 때문에 대면접촉이 최고의 정보통로다.‘좋은 점포 고르기 십계명’이나 ‘소자본 창업의 주의사항’도 여기서 전수받는다.
여성이나 투잡스,소호,무점포 등 다양한 처지에 맞춰 창업 아이템이 제공되며 창업관련 전문지식을 상담해주기도 한다.
게다가 전국적인 망까지 갖춰 지역의 한계성도 뛰어넘었다.운영자를 비롯해 수십명의 전문 창업 컨설턴트가 상담역인 곳도 있다.
커뮤니티 가운데 일부는 외부업체들이 참여하는 사업설명회를 갖는다.소규모 잡지나 테이크아웃 커피점 등 프랜차이즈 업체의 창업정보를 제공한다.하지만 여기에는 경계의 목소리도 있다.일부 커뮤니티는 가입자를 판매의 대상으로 삼기도 한다.
●인큐베이팅센터까지 갖춘 동호회
지난해 3월에 설립된 투잡스 동호회인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들(cafe.daum.net/2jobs2jobs)’은 지하철 2호선 교대역 인근에 아예 사무실까지 열었다.매주 토요일에 갖는 정기모임을 빼고 전문가들이 직접 도와주는 창업 멘토링제와 취업컨설팅제 등도 실시한다.
‘성공을 꿈꾸는 20대(cafe.daum.net/winner20)’처럼 특정 연령대를 겨냥한 커뮤니티도 있다.가입자가 4만명을 웃도는 ‘창업의 모든 것(cafe.daum.net/yysdg)’은 세무와 특허,마케팅,자금 등 전문영역에 따로 상담역까지 두고 있다.‘내가게(cafe.daum.net/negage)’는 인터넷쇼핑몰 운영자들의 모임이라는 특성 때문에 홈페이지 제작에 관한 정보가 추가됐다.투자자들을 찾아 창업자금을 지원하는 ‘엔젤카페 (cafe.daum.net/teroi77)’도 있다.
이유종기자 bel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