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7일 2박3일간 열린 초등교원 금강산 통일체험 연수에 참가한 종암초 김홍례(여·28) 교사의 감회는 남달랐다.최연소 참가자인 김 교사는 어린시절 이산의 아픔에 절규하는 사람들이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는 현장을 TV로 보았지만 ‘분단과 이데올로기’는 그저 ‘뉴스’라고 생각해온 분단 3세대다.
지난 6일 금강산 통일체험 연수에 참가한 초… 지난 6일 금강산 통일체험 연수에 참가한 초등교원들이 팔선녀가 목욕을 했다는 설화가 전해지는 상팔담에 올라 경치를 감상하고 있다.작은 사진은 금강산 문회회관에서 공연을 마친 평양 모란봉 교예단이 초등교원들에게 손을 흔드는 모습. |
서울시교육청 초청으로 금강산 연수에 참가한 초등교사 400명은 생생한 북한체험이 통일교육을 한단계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한결같이 입을 모았다.
지난 5일 서울 압구정동에서 버스로 꼬박 7시간을 달려 군사분계선을 넘어선 교사들은 차창 밖에서 시선을 뗄 수 없었다.한 여름의 햇살과 푸르름을 더해가는 산과 들,삼삼오오 마을을 거니는 까까머리 꼬마들의 모습은 남한의 시골 풍경과 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5일과 6일 구룡연과 만물상 등반을 마친 교사들은 더욱 더 통일교육의 의지를 굳혔다.구룡연 정상 상팔담에 오른 홍연초 이봉수(61) 교장은 북측 환경요원이 구수한 입담으로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를 풀어내자 “남과 북이 같은 언어와 정서를 지닌 한민족이라는 사실이 절로 느껴진다.”고 말했다.
기암괴석 사이사이 맑은 폭포와 연못이 어우러져 절경을 이루는 만물상 정상에 오른 안평초 송칠섭(35) 교사는 숨이 멎을 듯한 진한 감동을 느꼈다.그는 “우리 강산의 아름다움을 꼭 기억해 두었다가 이 감동을 학생들에게 생생하게 전해주겠다.”고 다짐했다.평양 모란봉 교예단의 화려한 곡예 역시 많은 교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남사초 장경자(여·55) 교무부장은 “북한 교예단의 실력에 놀라고 자부심을 느낀다.”면서도 “교예단원들이 자식들 같아 피땀 흘리며 훈련받았을 것을 생각하니 가슴이 아프다.”고 말했다.
빠듯한 2박3일의 일정 중에 교사들은 곳곳에서 통일교육에 대한 난상토론을 벌이기도 했다.경희초 황인수(38) 교사는 “교육현장에서는 지식·인성교육에 밀려 통일교육이 무시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통일 후 한반도가 아시아 대륙으로 무한히 뻗어갈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만 인식해도 통일교육을 게을리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자초 김미정(여·42) 교사는 “반전과 평화 교육을 피부로 느끼게 하려면 역할극 등을 통해 학생들이 간접체험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며 “통일교육의 다양한 방법론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 금강산 이효연기자 belle@seoul.co.kr
■ 교원 금강산 통일체험 연수는
유·초·중·고 교사 금강산 통일체험 연수는 서울시교육청이 통일교육의 내실화를 꾀하기 위해 실시해온 현장체험 중심의 프로그램.지난 1999년 8월,교사 470명이 항로로 처음 금강산을 방문한 뒤 지금까지 3592명이 이 프로그램에 참가했다.
주로 7∼8월 2박3일 동안 여름방학을 이용해 연수가 진행된다.11개 지역 교육청 별로 통일교육 담당교사를 우선적으로 선발한다.참가교사는 구룡연,삼일포,만물상,해금강 등 금강산의 주요 관광코스를 둘러보고 평양 모란봉 교예단의 공연도 관람한다.
교사들은 통일교육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분임토의 시간도 갖는다.10∼12명의 교사가 한 조를 이뤄 1시간 정도 토론을 실시하며 학교별 통일교육 우수사례 발표회 등도 연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