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가 서쪽으로 뉘엿뉘엿 넘어가는 14일 오후 6시30분 서울 중구 을지로 7가 동대문운동장 풍물시장.
전기기구 판매점과 옛날자장면 등을 파는 포장마차 옆 음반노점에는 한 남성이 쪼그리고 앉아 LP판 상자들을 뒤적거리고 있었다.대부분 20∼40년이나 묵은 레코드판들이다.
●낡은 LP판 찾아 삼만리
송파구에서 왔다는 대학생 이준혁(26)씨가 1000여장 되는 LP판을 뒤진 건 벌써 두 시간째란다.손수건을 미처 가져오지 못했는지 휴대용 화장지로 코끝에 떨어져내리는 ‘닭똥’같은 땀방울을 연신 훔쳐냈다.
진열된 LP판은 통기타가수 송창식의 1986년판 ‘참새의 하루’(한국음반), 90년 32세로 요절한 언더그라운더 김현식의 6집이자 91년판 마지막 미완성 앨범(동아기획) 등등….
종이로 된 레코드판 케이스 모퉁이가 너덜너덜해져 스카치테이프로 땜질한 것들이라 걱정스러울 텐데도 덩치 큰 주인 김모(55)씨는 그다지 기분 나쁘게 여기지는 않는다.담배연기만 내뿜고 있었다.중고(中古)여서 그런 것만은 아니다.마음에 와닿는 것들을 골라내기까지 주물럭거리기 십상인 마니아의 성격을 잘 알기 때문이다.
이씨는 1000여장을 일일이 꺼내본 뒤 30여장을 골라냈다.그러나 아니나 다를까.애써 골라낸 것들 가운데 몇몇은 다시 집어넣나 했더니 대신 다른 것들을 잡았다.역시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멈칫거리기를 되풀이하다 22장을 들고 지갑을 꺼냈다.이 때가 오후 7시30분쯤이니 장장 3시간이나 쪼그린 채 있었던 것이다.
그는 “전문판매점이 아닌 노점이라 한 장에 무조건 1000원 하는 곳”이라면서 “하지만 싼 맛에 오는 게 아니라 좋은 판을 건질 수도 있어 좋다.”고 만족스런 얼굴로 말했다.
주인 김씨는 “십수년 지나는 사이에 ‘껍데기’가 헤져 테이프를 붙였을 뿐 질(質)은 최상급”이라면서 “물건의 가치를 알고 단골로 찾아오는 한 대학교수는 시장판에서 이처럼 좋은 물건은 본 적이 없다고 하더라.”며 웃었다.
●“우린 마이너가 아니다”
“지글지글거리는 소리에 미쳐보지 않은 사람은 날로 편리해져가는 음반시장 속에서 엄청난 불편을 감수하는 LP마니아들의 마음을 알 수 없죠.”
음악을 즐기는 이들에게 향수가 묻은 물건 가운데 하나가 바로 전축이다.턴테이블에 올려 소리를 재생하는 게 흔히 말하는 레코드판이다.가늘게 파인 홈을 따라 바늘이 긴 시간동안 음악을 들려준다는 뜻에서 ‘Long Play’라고 부르게 됐다.판이 긁히기라도 하면 바늘이 홈을 넘지 못하고 일정한 구절만 자꾸 되풀이되는 것도 LP에나 있는 추억이다.다시 일기 시작한 LP붐은 ‘IMF’로 불리는 경제난 이후 우리 사회에 불어닥친 복고 문화의 거센 물결 탓이다.수집광이 늘자 최근에는 유명 가수들 사이에 리메이크 붐으로 이어져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수집 마니아들은 주로 청계천이나 회현동을 중심으로 활동 중이다.청계천에서 중고 음반점을 운영하는 최모(39)씨는 “5년 전부터 일본 사람들이 신중현 등 우리나라 가요 음반을 고가로 구입을 하면서 귀한 LP음반의 가격이 급등했다.”고 귀띔했다.
현재 업계에 알려진 LP판 동호회는 서울만 20여개다.한 동호회에 200∼300명,많게는 1만여명에 이른다니 합치면 모두 10여만명은 된다고 동호인들은 주장한다.청계천,회현동 외에도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 마니아 역시 급증하고 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