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원구 상계동 주택가에서 노원구청 하… 서울 노원구 상계동 주택가에서 노원구청 하수과 박성록(사진앞)씨가 구형 빗물받이를 들어낸 뒤 자신이 개발한 빗물받이 뚜껑을 설치하고 있다. 노원구청 제공 |
서울 노원구청 치수과에 근무하는 박성록(41·토목7급)씨는 최근 이같은 문제를 해결한 새로운 형태의 빗물받이 뚜껑을 개발했다.
공직에 들어온 뒤 8년간 하수업무를 담당해온 박씨가 본격적으로 새 빗물받이 뚜껑 개발에 나선 것은 노원구청 하수과에서 근무하기 시작한 지난 2002년부터.비가 오고난 뒤 어김없이 빗물받이 뚜껑이 더러워진 것을 보면서 “담당자이기 이전에 한 시민으로서도 참을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장마철에 종종 빗물받이 뚜껑이 막혀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것도 그냥 바라보고 있을 수 없는 계기가 됐다.
개발과정은 그리 쉽지 않았다.아무리 생각해도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았다.퇴근 후 각종 자료와 공구를 싸들고 씨름하다 보면 가족을 등한시하게 됐고 개발에 드는 비용도 사재를 털어 해결해야 했다.
8년간의 연구 끝에 박씨는 지난 7월말 한 중소기업의 도움을 받아 새 빗물받이 뚜껑의 시제품을 생산,노원구청 근처 일부도로에 시범설치했다.
새로 개발한 빗물받이 뚜껑의 가장 큰 특징은 철망을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바꾼 것이다.비가 내릴 때 빗물이 뚜껑철망에 부딪히는 월류현상을 막아 저지대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또 뚜껑 구멍이 기존제품보다 10여개 많아 빗물의 하수도 유입속도도 빨라졌다.
쓰레기가 쌓이는 것은 뚜껑 가장자리 5㎝를 프레임으로 테두리하면서 해결했다.박씨가 개발한 새 뚜껑에는 물과 쓰레기 등 이물질들이 쉽게 미끄러져 내려가 처음부터 쓰레기 고임현상이 생기기 않도록 했다.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개폐장치도 대각선으로 설치해 곡괭이 등 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손쉽게 뚜껑을 열 수 있게 했다.이 때문에 집중호우가 내릴 땐 주민들도 손쉽게 뚜껑을 열어 대응할 수 있다.
박씨는 “개발된 새 빗물받이 뚜껑은 설치 및 관리비용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어 ‘서울시 행정 아이디어 창안공모’에 지원할 예정”이라 밝혔다.공모에서 채택되면 서울시나 다른 자치구에서도 박씨의 새 빗물받이 뚜껑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고금석기자 ksko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