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경찰서 형사과 강력1반 박호상(49) 경사는 ‘킬러 잡는 킬러’로 통한다.강력계에서만 18년을 근무하면서 해결한 살인사건만 20건에 이르기 때문이다.다른 범죄까지 합하면 모두 450여명의 범인을 검거했다.지난해 서울경찰청이 선정하는 강도 부문 ‘베스트 형사’로 뽑혔다.
많은 해결사건 가운데 의경 살인사건이 가장 뿌듯하다고 했다.새해를 사흘 앞둔 지난 2000년 12월28일 강남 일대에서 30여차례에 걸쳐 강도·성폭행을 저지른 30대 남성이 불심검문을 하던 의경을 흉기로 찔러 숨지게 했다.박 경사는 “인파로 붐비는 출근길 지하철역에서 어이없이 한 식구의 생명을 빼앗긴 참담한 심정은 이루 말할 수가 없었다.”고 떠올렸다.용의자의 몽타주가 담긴 수배전단을 10만장 넘게 뿌리면서 여관마다 탐문수사를 벌이던 박 경사는 사건 발생 나흘 만에 서초동의 한 여관에서 용의자를 붙잡았다.
그는 “수갑을 채워 경찰서에 들어설 때 서장님을 비롯,전직원이 박수를 보냈다.”면서 “강력반 형사로서 보람과 긍지를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난해 5월 압구정동 여대생 납치 살인사건처럼 범인을 잡고도 안타까움이 남는 사건도 있다.당시 피해자 가족은 “돈을 주면 딸을 돌려보내주겠다.”는 범인들의 말만 믿고 1억원을 건넸으나,끝내 피해자는 돌아오지 않았던 것이다.
박 경사는 “피해자 가족이 조용히 해결하려고 경찰에 신고하지 않은 것이 결정적인 실수였다.”고 안타까워했다.그는 “납치범들은 대부분 돈을 받으면 얼굴을 본 인질을 살려두지 않는다.”고 말했다.
‘살인사건 해결사’답지 않게 유순한 인상이라 애를 먹은 적도 많다는 박 경사는,그런 인상조차도 조사의 기술로 활용한다.그는 “경찰서는 죄없는 사람도 들어오기 무서워하는 곳인데 피의자는 오죽하겠느냐.”면서 “웃는 얼굴로 가족같이 대해주면 조사도 더 순조롭게 진행된다.”고 귀띔했다.
박 경사는 경찰도 의사와 같은 일을 하는 직업이라고 생각한다.한순간의 판단으로 사람의 목숨을 구할 수도,잃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그는 “한 사람의 생명이라도 더 지키기 위해 제복을 벗는 날까지 강력계를 지킬 것”이라고 듬직한 웃음을 날렸다.
유지혜기자 wisepe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