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185~250ℓ 안팎이 주류 이뤄
최근 출시된 모델은 대용량에 활용범위가 넓은 것이 특징이다. 과거 120ℓ 미만의 제품이 주류를 이뤘다면 이제는 185∼250ℓ 내외의 제품들이 주로 판매되고 있다. 또한 살얼음 싱싱 기능, 발효 기능, 익힘 잔여시간 표시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제품이 보편화됐다.
김치냉장고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점 첫번째는 가족 수와 설치 공간이다. 자녀가 많고, 냉장고가 크지 않다면 185ℓ 이상의 넉넉한 제품이 좋지만, 맞벌이 부부 등 2∼3인 가족은 90∼120ℓ의 기본형 제품을 사는 것이 공간 및 전기세 절약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제품을 고르는 것도 중요한 선택 포인트. 김치냉장고는 항상 온도를 유지해야 하므로 전기 소비량이 많다. 에너지 소비 등급을 확인해야 전기료를 줄일 수 있다. 등급 표시가 낮을수록 효율이 높다.
또한 기능에 무작정 현혹돼서는 안된다.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이 많지만 이용하지 않는다면 무용지물. 생김치를 좋아해 조금씩 자주 담가 먹는다면, 다단계 숙성 기능은 필요 없는 셈이다. 부가 기능에 따라 가격도 차이가 나므로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최근 소비자들로부터 가장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김치냉장고 ‘3강제품’을 비교·분석해봤다.
김치냉장고를 최초 개발한 위니아의 ‘딤채’는 최근 김치를 담그지 않고 구입하는 가정이 늘자 ‘구입김치 보관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적당히 익어 있는 상태의 구입김치의 맛을 유지시켜 주는 신기술이다.140만원 선의 ‘2005년형 만도 크리스탈 딤채 DC-R1607DCG(160ℓ)’를 비롯해 총 60여종에 이르는 신제품이 나와 선택폭이 넓다.
●딤채·김장독·다맛 반응 좋은 “3强”
LG의 ‘김장독’은 김치의 신맛을 최소화하고 보관을 오래 할 수 있는 ‘맛지킴 기술’을 내세운다. 원하는 양만큼만 발효시키는 ‘한통 발효기능’이나 정장(整腸)효과가 있는 동치미를 만들 수 있는 기능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신모델인 LG 김장독 R-K241PA(238ℓ)는 뚜껑식 2칸에 서랍식 2칸인 콤비식 제품으로,2003년형에 비해 보관기능이 50% 이상 향상된 점이 특징이다. 가격은 190만원선.
삼성 ‘다맛’은 용기를 차별화한 점이 눈에 띈다. 김치와 같은 칸에 보관해도 얼지 않는 야채과일 전문용기, 원적외선 기능이 있는 맥반석 김치통 등 새로운 용기를 도입해 편의성과 건강을 동시에 고려했다.SKR2517IB(174ℓ) 등이 인기모델. 가격은 98만원 선.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