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순철 과장 김순철 과장 |
우리나라는 지난달 22일 연간 수출액 2001억 7400만달러를 기록했다.1억달러를 달성한 지 40년(1964년),1000억달러를 돌파한 지 9년(1995년)만이다. 지난 64년 우리와 수출액이 비슷했던 에티오피아, 모잠비크, 세네갈 등은 지금도 10억달러 안팎에서 맴돌고 있으나 우리는 연말쯤 세계 11번째 수출국으로 한 단계 도약한다.
김 과장은 경이적인 수출의 동력을 “기업의 기술개발·마케팅 노력과 근로자의 수출에 대한 충분한 이해, 정부의 지원 등이 잘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지난해 플랜트 수출상담을 위해 중동의 오지를 방문했을 때 풍토병에도 개의치 않고 물건을 한 개라도 더 팔려는 우리 무역인들의 모습을 보고 눈물이 핑 돌았다.”고 말했다.
꼼꼼한 성격의 그는 각종 수출입 통계를 바탕으로 수출입 동향을 분석하고 전략을 수립한 뒤, 정부의 지원대책을 마련해 빈틈없는 일처리 솜씨를 인정받고 있다. 특히 95년 수출 1000억달러 돌파 당시에는 수출과 사무관으로 일해 우리나라 수출과 긴 인연을 갖고 있다.
김 과장은 “수출정책이 60∼70년대에는 ‘견인’,80∼90년대는 ‘측면지원’에 주력했으나 21세기에는 앞으로 기업이 뻗어나갈 수 있는 길을 정부가 다져주는 ‘선도와 배면지원’으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취지에서 반도체·휴대전화·자동차·컴퓨터·선박 등 5대 수출품의 편중(전체의 44%)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0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을 제시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제조업 상품뿐만 아니라 의료·교육·문화콘텐츠 등 지식서비스 산업에 대한 수출 촉진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환율하락에 따른 수출저하 우려에 대해서는 “수출보험의 환변동보험을 올해 7조 5000억원 인수할 예정인 만큼 중소기업은 이를 통해 환리스크를 줄이는 게 바람직하다.”고 충고했다.
행정고시 27회로 경제기획원 사무관으로 입문한 뒤 산자부로 옮겨 생물화학산업과장 등을 역임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