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양극화로 전체 점수 올랐다.”
올해 필기시험에서는 합격선이 올랐다. 외무행정직의 경우 지난해 80.85점에서 88점으로 합격선이 올라갔다. 일부 장애인 구분모집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다른 직렬도 1∼2점씩 합격선이 상승했다.
수험생들은 놀랍다는 반응이다. 면접시험 비중 강화를 위해 필기시험 합격자를 늘렸는 데도 합격선이 올라갔기 때문이다. 관세직에 지원했던 수험생 김모(31)씨는 “지난해와 문제 수준이 비슷하다는 평을 듣고 합격권에 들었다고 생각해 면접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합격선이 더 높아져 놀랐다.”고 말했다.
H고시학원 관계자는 그 원인에 대해 ‘문제 난이도의 양극화’를 지적했다. 즉, 대부분의 문제는 기본서를 위주로 한 쉬운 유형이어서 착실하게 준비한 수험생들이라면 누구나 점수를 챙길 수 있었던 반면, 일부 어려웠던 문제는 난이도가 너무 높아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수험생들의 전반적인 수준이 상승했다는 반론도 적지 않다. 경기 불황으로 공무원시험이 인기를 끄는 데다 고시제도의 변화로 고시 장수생들이 7급 시험으로 발길을 돌린 경우가 많았다는 분석이다.
●여성, 대학재학생 증가
경기불황으로 인한 실업의 탈출구로서 공무원시험이 각광받고 있다는 것은 여성·대학재학생 합격자 비중이 늘어난 점에서도 확인됐다. 최근 몇년 동안 취업에 상대적으로 불리한 여성이나 취업난으로 진로가 불투명한 지방대생을 중심으로 공무원시험에 ‘올인’하는 현상이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여성합격자는 575명 중 155명으로 27%에 이르렀다. 지난해 21.3%보다 5.7%포인트가 늘어난 수치다. 양성평등채용목표제로 추가 합격한 여성은 세무직 9명, 교육행정직 2명 등 4개 직렬 18명에 이르렀으나 남자 추가 합격자는 없었다.
합격자들을 학력별로 분류해보면 대학원 이상 학력 소지자가 35명으로 6.1%, 대졸 이상은 415명으로 72.2%, 대학재학생은 113명으로 19.7%, 전문대 이하는 12명으로 2%를 각각 차지했다.
●면접, 안심하지 말라
이제는 필기시험 합격만으로 안심할 수 없다. 인사위가 면접 강화 방침을 공공연히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9급과 5급 면접 때 사례제시형 질문이나 개인별 주제발표 등의 기법을 면접에 도입했다. 여기에다 7급 면접에도 ‘새로운 메뉴’를 선보이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이 때문에 7급 필기시험 합격자 수가 다소 늘었다. 최종선발인원이 19개 직렬 468명인데 575명이 합격했으니 면접시험에서 탈락할 인원은 107명으로 18.6%에 이르러 대략 5명 중 1명은 탈락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합격한 수험생들은 이미 5급·9급 면접 관련 정보를 교환하는가하면 노량진 일대 학원가는 주말을 이용한 면접특강을 실시할 예정이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