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월 기준으로 여성교원은 서울시 초·중·고교의 61.5%이다. 초등학교 교사의 80.2%, 중학교 교사 65.2%, 고등학교 교사 35.5%가 여성이다. 반면 초·중·고 교장은 17.0%, 교감은 18.3%, 시교육청 장학관은 13%에 불과해 교육계 여성리더는 아직 수적으로 적은 편이다. 현재 여성교원의 비율로 볼 때 앞으로 교육계 여성 리더는 필연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교육계에 여성교원의 수가 크게 늘어나면서 일부에서는 교육의 ‘여성화’를 우려하기도 한다. 그러나 여성교원의 대선배들은 교육이야말로 여성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여성교원의 증가는 매우 바람직하다고 말한다.
양재고 최난주 교장은 열달 동안 아이를 내 속으로 품고 낳아 길러보면서 비로소 모든 아이들이 귀하다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 최 교장은 “교사가 학생들을 지도하는 과정은 교사의 혼을 불어넣는 것과 같아서 매우 고단하지만, 학생들 한명 한명을 내 아이라고 생각하면 힘들어도 참고 사랑을 베풀 수 있는 것이 여성 교원의 강점”이라고 말했다.
동작교육청 권택희 교육장 역시 가정에서 바람직한 어머니상은 학교에서의 바람직한 교사상과 같다고 말한다. 권 교육장은 “가장 훌륭한 교육은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이라며 “학생들을 하나의 인격체로 대하며 학생들을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이를 낳고 길러 본 여성교원들의 장점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선배 여성교원들은 물론 교육이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적합한 영역이지만 아직까지 여성교원들에게는 극복해야할 단점도 있다고 지적했다. 여의도여고 강의정 교장은 여성이 교육계에서 더 이상 소수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여성이 소수였기 때문에 주어졌던 특권을 챙기려는 여성교원들의 자세를 지적했다.
강 교장은 “여교사들은 굳은 일이나 피곤한 일은 피하려는 경향이 있어 상급자가 일을 주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면서 “가정이 있는 여교사의 경우 가사 노동을 병행해야 하는 어려움은 이해하지만 여러 가지 학사 행정에 더 적극적으로 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교단에 설 때는 몰랐는데 장학사로 일하면서는 남녀 차이를 느꼈다.”면서 “여성 교원들은 경쟁체제에서 팀을 이뤄 서로를 돕는 자세를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위원 정재량 부의장도 여성 역시 여성에게 큰일 할 기회를 주는 것에 대해 인색하다고 지적했다. 올해 서울시 교육감 선거에 유일한 여성 후보로 출마했던 정 부의장은 “남녀 유권자 가릴 것 없이 ‘여자가 그런 큰 일을 할 수 있나.’라며 결국은 혈연·학연·지연을 따라 표심이 움직이는 것을 보고 외롭고 힘들었다.”고 밝혔다.
여의도여고 최 교장은 “지금까지 여성에게 일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에 그 기회를 제도적으로 보장해주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남녀 가릴 것 없이 모두가 경쟁해야 한다.”면서 “필요 이상으로 여성이라는 특혜를 요구하고 챙기려는 자세는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이효연기자 bell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