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사태가 확산되자 그동안 목소리를 내지 않던 5급 이상 간부들은 전공노의 힘이 커지면서 자신들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는 불만도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전공노 총파업 찬반 투표가 실시된 지난 9일 전국 행정관서에서는 투표함 설치를 놓고 노조원과 간부 직원들간의 마찰과 충돌이 빚어졌다.
서울시내 한 구청의 A과장(5급)은 “위에서는 파업을 막지 못하면 엄중 문책하겠다고 하고, 부하 직원들은 말을 듣지 않는다.”면서 “중간 간부들 사이에서는 요즘 분위기를 빗대 위에서 당하고 아래에 치이고 ‘시어머니 둘을 모시고 산다.’고 말한다.”고 푸념했다.
중앙부처 B과장(3급)은 “5급 이상은 전공노와 관계가 없는데도 주변에서 ‘강철밥통’이라는 비아냥을 듣는다.”면서 “전공노에 ‘파업권’을 주는 것은 절대 안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공직에 처음 들어왔을 때는 윗사람보다 먼저 출근해 늦게 퇴근했는데 요즘은 거꾸로 됐다.”면서 “또 다면평가 실시로 부하직원 눈치를 봐야 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중앙부처 C국장(2급)은 “전공노가 7급 이하 근속승진연한 단축과 계급별 정년 차별 철폐 등을 주장하는데, 이는 조직의 기형화를 초래하는 등 이기주의 발상”이라면서 “정년을 채우지 못하고 신분불안을 느낀는 것은 오히려 2급 이상 고위직”이라고 꼬집었다.
반면 주사보인 7급 공무원 D씨는 “하위직 공무원의 처우개선 등을 위해 단체행동권은 당연히 보장돼야 한다.”면서 “간부들이 파업에 참가하면 인사상 불이익을 줄 것이라고 공공연하게 엄포를 놓으며 오히려 내부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8급 직원 E씨도 “파업권을 주면 일하기 싫을 때마다 매년 파업을 할 거 아니냐며 비상식적인 말로 모멸감을 준 적도 있다.”면서 “총파업이 무산된다고 하더라도 이후 틀어진 내부 갈등을 봉합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