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6일 지난해부터 추진해오고 있는 ‘깨끗한 서울 가꾸기’ 사업과 관련, 대한주부클럽연합회 등 7개 시민단체에서 추천한 전문가 등 20명으로 평가단을 구성,25개 자치구에 대해 청결도를 평가한 결과 구로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밝혔다.
구로구가 지난해 3월 발족시킨 봉사단은 내 집앞과 이웃집을 쓸어주며 골목길을 청소하는 주민 자원봉사 모임이다.
관내를 1132개 소구간으로 나눠 구간마다 6∼7명씩, 모두 8000여명의 주민이 참여하고 있다.
구청에서는 봉사단에게 쓰레기 봉투와 청소용구 등을 지원해 주고, 주민들은 스스로 회의를 열어 청소시간 등 구체적인 계획을 정해 활동한다. 봉사단의 활동은 안양천을 사랑하는 시민의 모임, 환경을 사랑하는 녹색 어머니회 등 지역 시민단체들의 호응을 얻어 참여자가 늘어나고 있다.
●쓰레기 버리는 ‘얌체족’도 발 못붙여
첫발을 뗀 지 2년도 안 됐지만 효과는 만점이다. 특히 골목길이 주민들의 정감 넘치는 공간으로 되살아났다.
양대웅 구청장은 “얼굴도 모르고 지내던 이웃끼리 손을 맞잡으면서 정담을 나누기 시작했다.”면서 “골목길에서부터 회복된 공동체가 마을공동체, 나아가서는 구로 공동체의 바탕이 된 주민화합의 쾌거”라고 말했다.
이들의 활동으로 규정된 쓰레기 배출시간이 지켜지고, 주택가 쓰레기 무단투기가 크게 줄어드는 등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몰래 쓰레기를 아무 곳에 버리는 ‘얌체족’이 발을 들여놓지 못하고 있다.
구로5동 14통 구간을 맡으면서 ‘호랑이 대장’으로 불리는 봉사단장 황부득(60·여)씨는 “때로는 이웃에게 야단도 치고 격려도 하면서 해나가는 우리골목 청소지만 다른 곳에 사는 주민들이 우리 동네에 오면 기분이 좋아지고 마음까지 안정된다는 말을 할 때 뿌듯함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들은 매일 오전 6시에 모여 골목을 누비며 청소를 한다.
황 단장은 “처음에는 1시간 반이나 걸리던 청소가 이제 40분이면 끝나고, 청소봉투도 30ℓ짜리 3개나 썼는데 요즘 1개면 될 정도로 쓰레기가 많이 줄었다.”고 자랑했다.
●관악·송파·은평·성동구도 청결 우수
구로구는 봉사단 가운데 우수한 단체를 ‘깔끔이왕’으로 뽑아 해외연수를 보내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해 자부심을 불어넣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시는 구로구 ‘깔끔이 봉사단’을 벤치마킹해 25개 자치구로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 자치구에 대해 청결도 평가에서 구로구 다음으로 관악구, 송파구, 은평구, 성동구가 우수자치구로 뽑혔다.
송한수 이두걸기자 onekor@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