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인사위원회 정윤기 인재채용과장은 1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서울신문 공무원 시험 대강연회’에서 내년도 7·9급 공무원 시험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처음으로 제시했다.
|
인사위 정윤기 인재채용과장 인사위 정윤기 인재채용과장 |
그러나 정 과장은 이처럼 강화된 면접에 대한 준비 요령도 함께 소개했다. 그는 “일반행정직 공무원의 경우 어느 부처에서 근무할지 결정되지 않은 만큼 어느 분야에 특화된 인재상을 요구하기는 힘들다.”면서 “때문에 공무원이 될 수험생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생각해 봤어야 하는 주제가 출제될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신문·방송 등에서 다뤄지는 굵직한 사건 등에 대해 생각을 정리해 볼 것을 제시했다.
정 과장은 학원가에서 떠도는 시험 준비요령 등에 대해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학원가나 인터넷에서 떠도는 준비요령은 자신의 실력 등을 감안하지 않은 추상적인 요령에 불과하다.”면서 “오히려 자신의 출신학교 선배나 동기의 합격요령을 듣는 것이 현실적이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시험출제 방향이 바뀌게 되면 중앙인사위 홈페이지에 즉각 게재해 모든 수험생들에게 알리는 만큼 학원가에서 떠도는 시험출제 방향과 관련된 각종 루머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대응하지 말 것도 당부했다.
정 과장은 상대적으로 신분이 안정적이라는 이유로 공무원의 인기가 치솟고 있는 것과 관련,“지난 1998년 IMF 이후에 4만여명의 공무원이 공직을 떠난 적이 있다.”면서 “공무원이 철밥통이라는 생각으로 공직을 지원했다가는 오래 버티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공직은 과거처럼 국민들 위에 군림하는 직업군이 아니다.”면서 “앞으로의 공직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국민의 불편을 들어주고 개선해 주는 서비스 업종으로 변해가고 있다.”고 말했다.
강충식 강혜승기자 chungsi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