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는 2003년 3월 서울시내 자치구 가운데 처음으로 별도 기업유치팀까지 만들었다. 지역내 기업을 막연하게 지원하던 기존 방식에서 탈피해 무담보 대출, 부동산수수료면제 등 이전에 따른 각종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서초구 삼성 강남타운·현대차 본사 유치
현대자동차는 지난달 시설계획을 변경해 양재동 본사 연구개발 시설인 R&D센터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현재 사옥에 같은 형태의 건물을 붙여 증축한다. 오는 4월 착공 예정인 현대차 본사는 연면적 4만 3318평의 쌍둥이 타워로 몸집을 불린다. 당초 본사의 부지용도는 도시계획상 유통시설의 일종인 자동차판매시설 용지로 분류돼 증축이 불가능했다.
그러나 서초구가 사옥 증축 허가를 서울시에 건의, 지난달 15일 도시계획시설 변경이 이뤄졌다.
삼성도 서초구 서초동 강남역 인근 부지 7500여평에 ‘삼성 강남타운’을 추진중이다. 오는 2008년 완공 예정이며 높이 43층과 34층,32층짜리 건물 3개동, 연면적 11만 7000여평의 매머드급 건축물이다. 지난해말 서울시 건축심의를 통과, 현재 설계변경 허가를 남겨 놓고 있다. 아직까지 이전 계열사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이 일대 상권에 미칠 기대치로 부동산값이 들썩이고 있다.
●금천구 까르푸 한국본사 끌어들여
서남권에 위치한 금천구는 서초동 교보타워에서 분당으로 이전하려던 까르푸 한국본사를 까르푸 시흥점으로 유치했다. 이 과정에서 금천구는 지구단위계획에 묶여 증축할 수 없었던 시흥점에 1개 층을 높여 사무실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서울시에 요청했다.
경기 성남시도 포털사이트 네이버를 운영하는 ㈜NHN 본사를 분당신도시에 유치하기 위해 헐값 논란에도 불구하고 시유지를 매각한다.
기업유치팀을 운영하는 송파구는 지난해 102개 업체,3700여명을 새식구로 맞이했다.
●송파구 작년 유치기업 매출 1조원 웃돌아
이들 기업체의 매출액을 합치면 무려 1조 1000억원에 달한다. 매출액이 500억원을 넘는 기업체만도 건국유업과 삼표에너지, 한올제약 등 7개 업체이며 지난달 3일에는 건설업체인 ㈜한양이 중구 정동에서 신천동으로 사옥을 옮겼다.
기업체 유치가 자치구의 세수 증대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기업체는 국세로 분류되는 법인세를 내 지방자치단체는 상대적으로 액수가 적은 사업세만 받을 수 있다.
지난해 102개 기업을 유치한 송파구의 세수효과는 2억 6000만원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역경제에 끼치는 파급효과는 적지 않다.102개 기업체, 임직원 3700여명이 송파구에서 5000원짜리 점심식사만 해결해도 연간 50여억원의 부가가치가 창출된다.
이강석 송파구 기업유치팀장은 “송파구에 본사를 둔 기업들이 내는 법인세는 지난해 92억원이나 증가했지만 지자체가 거두는 사업세는 3억원을 넘지 않았다.”면서 “그러나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감안해 건물주와 기업인, 법조인 등으로 구성된 43명의 송파구기업유치 홍보요원을 만들어 올해는 우량기업 300개 업체를 유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유종기자
bel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