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시작을 알리는 첫곡은 주요 행사의 식전행사를 연상시키는 ‘대취타’였다. 바라, 나팔, 작은북, 태평소 등 단조로운 악기구성이지만 씩씩한 기상을 뿜어냈다.
삼각관계의 사랑이 해학적으로 표현된 봉산탈춤의 미얄할미춤이 관객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장중하고 단아한 거문고 산조와 한량무 공연 등도 이어졌다.
공연 후반부에는 관객들이 손뼉을 치며 공연에 동참할 수 있는 경쾌한 경기민요와 가정마다 복이 깃들기를 비는 농악패의 비나리가 선보였다.
상모를 돌리며 한바탕 신명나는 마당이 연출되자 관중석의 분위기는 한껏 고조됐다. 장년층들은 옛 정취에 젖어 어깨를 들썩거렸고 ‘얼쑤’,‘좋다’하는 추임새도 터져나왔다.
남편과 같이 온 주부 송진실(51·쌍문2동)씨는 “정월대보름과 설 명절을 맞아 새로운 마음을 갖게 해주는 흥겨운 자리”라며 연방 박수로 장단을 맞추었다. 김영숙(58·여·창3동)씨는 “국악공연을 접하는 것이 흔하지 않았는데 이렇게 보니 무척 재미있었다.”고 말했다. 김희윤(12·숭미초5)양은 “처음 보는 미얄할미의 탈춤이 신기하고 재미있었다.”며 즐거워했다.
전체적으로 공연은 국악의 진수보다는 각 장르를 조금씩 ‘맛보기’로 보여준 느낌이었다. 출연진들의 규모가 시 산하 예술단체로 부르기에는 너무 빈약해 아쉬웠다. 국악에 익숙하지 않은 청소년들이 많이 모인 만큼 오케스트라와 비슷한 규모로 공연이 진행됐다면 국악에 대한 자긍심을 심어주는 데 도움이 됐을 것이다. 공연 시간이 짧은 것도 아쉬웠다. 하지만 다양한 장르의 국악을 골고루 소개한 것만으로도 국악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다고 생각한다.
이병숙 시민기자·수필가 dulmaru@hanmail.net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