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2개 2차 뉴타운지구 내의 개발 파급효과가 큰 지역을 중심으로 19개 전략사업구역 40만평을 선정, 자치구가 주도적으로 이 지역을 정비구역으로 지정해 개발할 수 있도록 했다고 11일 밝혔다. 자치구에서 뉴타운 사업지구 내 특정지역을 우선 정비할 경우 다른 지역으로의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략사업구역의 규모는 전체 뉴타운사업지구의 6%에 해당한다.
기존에는 민간이 구역 지정을 주도해 정비계획이 포함된 제안서를 작성한 뒤 정비구역 지정을 자치구에 제안하고, 자치구가 서울시에 정비구역 지정을 신청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러나 정비구역 지정과정에서 주민들간 이견으로 사업이 어려움을 겪고, 주민 동의를 받는 데만 1년 이상 걸리는 등 부작용이 잇따랐다. 특히 주민들이 일정액의 돈을 부담, 정비지구 지정에 2년 정도의 기간이 소요됐다.
그러나 앞으로는 자치구가 이미 뉴타운 지구별로 수립돼 있는 개발기본계획을 활용해 정비계획을 수립, 사업 소요 기간이 10개월 정도로 크게 단축될 전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전략사업구역을 중심으로 올해 770억여원의 예산을 투입, 정비사업계획 수립비와 사업촉진에 필요한 도로 등 기반시설 공사비용을 지원해 올해 안에 2차 뉴타운사업을 본격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