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12층 행정자치부 상황실. 사무실 한편에 사업 개시일을 78일 앞두고 있는 것을 암시하는 ‘D-78일’이란 문구가 붙어 있었다. 김남석 혁신기획관과 팀장 3명이 부지런히 할 일에 대해 논의를 하고, 팀원들은 뿔뿔이 흩어져 업무를 챙긴다.
|
“팀제 성공 및 혁신은 우리에게 맡기세요.… “팀제 성공 및 혁신은 우리에게 맡기세요.” 행정자치부 혁신기획관실 직원들이 13일 정부중앙청사 상황실에서 주먹을 불끈 쥔 채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남상인기자 sanginn@seoul.co.kr |
이곳은 기존 상황실이나 회의실로 활용되던 공간이다. 그러나 최근 행자부 혁신을 총괄하는 ‘혁신상황실’로 바뀌었다. 마치 작전 상황실처럼 매일 매일 추진 상황을 점검하며, 수시로 회의를 열어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고 다듬는다. 각종 서류도 어지럽게 널려 있다. 일반 사무실과는 무언가 다르다.
바로 옆방은 오영교 장관실이다. 전면적인 팀제 도입으로 공직사회에 충격을 던진 그가 직접 챙기기 위해 바로 옆에 사무실을 꾸리게 했다. 수시로 찾아와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추진을 독려한다.
따라서 이곳은 행자부 혁신의 산실이자 기관차 역할을 한다. 오 장관이 큰 그림을 내놓으면 이곳에서 실행한다. 더불어 이미 시행에 들어간 팀제에 대한 변화관리와 성과평가, 보상 등 행자부 혁신을 주도한다. 현재는 실적을 평가해 보상하는 ‘통합행정혁신시스템’ 구축작업에 매달리고 있다.‘D-78일’은 오 장관이 팀제 도입을 발표하면서 6월말까지 ‘통합행정혁신시스템’을 구축해 공개하기로 다짐한 바 있어 7월1일을 ‘D데이’로 보고 78일 남은 것을 표기한 것이다.
역할이 중요한 만큼 자부심 또한 대단하다. 모두 20명이 일하는데, 각 부서에서 핵심 멤버를 발탁했다.
총지휘를 하는 김남석(행시 23회) 혁신기획관은 최근까지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에 파견돼 정부 행정 혁신을 추진하다 행자부 혁신의 특명을 받고 복귀했다. 정부혁신위 행정개혁팀장으로 있을 때 정부혁신위원인 오 장관과 인연을 맺었다.
김 기획관은 “오 장관이 각 부서에서 필요한 인력을 뽑아서 쓰라고 해 부서별로 1명 정도씩 스카우트했다.”면서 “너무 정예요원들을 빼오다 보니 항의도 많았다.”고 말했다. 함께 일하는 3명의 팀장도 발탁 케이스다. 행자부내 혁신전략팀을 맡은 변성완 팀장과 성과관리팀을 맡은 김우호 팀장은 팀제로 전환하면서 발탁됐다. 변 팀장과 김 팀장은 행시 37회다. 현재 팀장 대부분이 행시 32회인 점을 고려하면 파격인사로 볼 수 있다.
‘부내정보화팀’을 맡은 유은숙(여)팀장은 2명의 여성 팀장 가운데 1명이다. 유 팀장은 9급으로 공직에 들어와 컴퓨터공학 박사학위까지 받은 노력파로, 그 역시 팀장으로 발탁됐다.
팀원들은 원만한 성과평가 체제 구축을 위해 각 부서에서 업무에 정통한 공무원을 발탁하고, 새로운 감각을 접목하기 위해 젊은 세대를 수혈하기도 했다. 성과관리팀에서 고객관리구축업무를 맡은 김정예(여·고시 45회) 사무관은 서울대 음대 출신으로 행정고시를 통해 공직에 들어온 드문 케이스다. 김 사무관은 수원에 있는 자치인력개발원에서 근무하다 이번에 발탁됐다.
김 기획관은 “일 잘하는 직원을 찾던 중 수소문 끝에 발탁했다.”고 설명했다. 김 사무관은 “새벽 1시에 귀가하는 것이 허다하지만 그래도 재미있다.”면서 “이 업무는 고객마인드가 가장 중요한 것 같다.”고 밝혔다. 통합행정시스템 구축업무를 맡은 장경미(여) 사무관은 “행자부가 성공해야 타부처에도 확산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부담이 되지 않을 수 없다.”면서 “그래도 뜻깊은 일을 하게 돼 보람”이라고 말했다.
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