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산하 원예연구소는 최근 화초의 상태와 생육 조건을 음성으로 알려주는 ‘말하는 화분’을 개발, 주목을 받았다.
크게 4가지 조건에 음성으로 반응하는 이 화분은 흙의 수분이 부족할 경우 “물 좀 줘.”라고 요구한다. 밤이 되면서 빛의 양이 줄어들면 “내일 봐.”라고 말하고 온도가 적정치보다 높으면 “너무 더워.”라고 투정도 부린다. 무리하게 잎사귀나 줄기 등을 만지면 “나도 아프다.”고 화를 내기도 한다. 연구소는 이같은 화분에 대한 특허를 출원 중이며 기업체에 기술 이전도 추진하고 있다.
원예연구소는 새집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 … 원예연구소는 새집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 아레카야자, 왜성대추야자 등 야자류 식물과 팔손이나무 등 공기정화식물을 권장하고 있다. 원예연구소 제공 |
연구소는 최근 불거진 새집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공기정화 식물도 소개해 관심을 끌고 있다. 벤젠, 톨루엔, 포름알데히드 등 새집증후군 유발물질은 주택 신축 후 6개월까지 가장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거실과 베란다, 아이들 방에는 이들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잘 분해하는 아레카야자, 왜성대추야자 등 야자류 식물과 미세 먼지나 분진 제거 효과가 있는 팔손이나무 등을 놓아 두면 좋다고 권장한다.
실제로 연구소의 연구진이 밀폐된 공간에 야자류, 관음죽, 팔손이나무 등을 넣고 포름알데히드 2을 주입한 결과,4∼5시간 만에 30% 수준인 0.7까지 줄어 새집증후군 예방 효과가 입증됐다.
그러나 초대 소장을 지낸 우장춘 박사가 ‘종자는 주권’이라고 강조했듯이 원예연구소의 주업무는 원예산업 육성과 종자 자급화이다.
국내 원예산업은 연간 생산액(12조원)이 농업 총 생산액의 34%를 차지할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다. 수출액도 3억 6000만달러로 전체 농산물 수출액의 75%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원예연구소의 역할이 그만큼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동안 배추·무 등 채소 61품종, 사과·배 등 과수 52품종, 장미·나리를 포함한 화훼 273품종 등 총 386품종을 육성했다.
특히 사과 품종 중 농가에 널리 보급된 ‘홍로’는 2500여㏊에서 재배, 연간 298억원의 부가가치를 올리며 연구 성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밖에 채소의 공급체계 구축, 과수의 밀식 재배 및 품질 고급화, 다수확 재배기술, 화훼의 고품질 수출체계 구축도 대표적 업적이다. 원예연구소 관계자는 “고품질이면서 안전성이 높고, 가격 경쟁력이 있는 원예산물 생산을 위해 분야별 경쟁력 제고 방안을 수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수원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