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이들 기관에 따르면 우리측 고유 실무 및 기술을 배우려는 세계 여러 나라의 구애(?)가 잇따르고 있다. 과거 직원을 파견해 연수를 받던 소극적 자세에서 벗어나 기술 이전 요청도 쇄도한다.
G2B(나라장터) 운영으로 세계적 기술력을 인정받은 조달청이 선두에 있다.
조달청은 지난해 베트남 정부와 전자조달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데 이어 지난달 타당성 조사를 위한 대표단을 현지에 파견했다.
조달청은 전자조달 정책담당자 대상 착수보고회와 조달 제도,IT인프라, 정부 정책 등을 파악하기 위한 인터뷰도 실시했다.
조달청은 1∼2차례 추가 조사를 거쳐 6월쯤 타당성 조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파키스탄 정부에 대해서도 조만간 타당성 조사에 나설 계획이다.
조달청 관계자는 “‘나라장터’라는 정책 모델을 수출하는 것”이라며 “국가 위상 제고는 물론 소프트웨어 개발,IT기업의 해외 진출 확대 등 부수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특허청도 지난달 30일 뉴질랜드와 PCT(국제특허) 출원에 대한 국제조사 및 예비심사를 맡는 데 합의했다. 이로써 특허청이 지난 1997년 국제조사 및 예비심사기관으로 지정된 이후 업무를 대행하는 국가는 필리핀·베트남·인도 등 7개국으로 늘었다.
관세청도 베트남 관세청 부국장 등 11명을 대상으로 통관자동화시스템에 관한 연수를 실시했다. 베트남의 요청으로 이뤄진 이번 연수에서 관세정보화 및 인터넷 통관시스템 등에 대한 강의와 함께 전산시스템 및 부산세관 등도 견학시켰다.
한국철도공사 역시 해외진출 교두보를 확보했다. 철도공사는 지난달 17일 하노이에서 베트남철도공사와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철도공사가 베트남의 철도 기술·운영·건설분야 연수를 지원하는 대신 베트남은 한국업체 진출을 지원·협조한다는 것이다.
2020년까지 하노이∼호치민간 1700㎞ 구간에 고속철도를 건설할 베트남은 이미 선로궤간을 한국과 같은 1.435m로 정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