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패요인을 사전에 차단, 청렴기관으로 선정된 것은 물론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과 배려로 행정의 신뢰를 높이고 있다. 이와 함께 다양한 특수 시책과 제도 개선 등을 통해 주민 곁으로 성큼 다가섰다.
현장민원실을 운영, 고객을 직접 찾아나서고 있으며, 특히 간부 공무원들은 군내 319개 전 마을을 방문, 주민들과 간담회를 가진 덕분에 집단민원이 단 1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아울러 ‘주민 감시관제’를 시행, 공사와 관련한 주민 불만을 원천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민원실에는 양면 모니터를 설치, 민원인이 민원 처리사항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했다.
하동군의 민원서비스가 주민들의 감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던 것은 즐거운 직장 분위기에서 비롯됐다. 지난해 6월 조직된 ‘757다비기팀’이 분위기 쇄신에 앞장섰다.
앞의 757은 신라 경덕왕 16년 한다사(韓多沙)군이 하동군으로 명칭이 바뀐 연대를 나타내며, 다람쥐와 비버, 기러기의 머리글자를 따서 이름을 지었다. 가치있는 일에 전력투구하는 다람쥐 정신과 목표달성에 필요한 일을 스스로 찾는 비버의 방식, 격려와 칭찬하는 기러기의 울음에서 따왔다.
고객만족의 행정서비스는 직장생활이 즐거워야 가능하다는 인식 아래 즐거운 직장만들기 운동을 벌였다.1단계로 인사용어 바꾸기를 추진했다.“좋은 하루되십시오.” “전하는 기쁨, 받는 즐거움” 등의 인사말이 정착됐다.
2단계는 칭찬하기.‘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합니다.’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칭찬릴레이를 시작했다. 지난해 말 ‘분위기 메이커 왕’으로 보건소에 근무하는 정옥자(의료기술 7급)씨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17명이 칭찬을 받았다. 직원들은 힘들어도 불평 한마디 없이 묵묵히 일하는 동료들을 칭찬했다.
이와 함께 ‘UP-UP 용수철 토론단’도 하동 발전을 이끌고 있다.6급이하 공무원 10명으로 구성된 토론단은 월 2회 장소와 시간, 직급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토론한다. 관광홍보물 개선방안, 하동8경 및 8진미 선정, 친환경 가로등 설치안 등을 발굴, 행정에 접목시켰다.
조유행 군수는 “이번 수상은 600여 공직자들과 군민이 혼연일체로 이룩한 쾌거”라며 “밝은 미래 희망찬 하동건설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하동 이정규기자 jeong@seoul.co.kr
2005-6-28 0:0: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