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중앙행정기관 이전계획 시안공청회에서 정부측이 밝힌 이전 준비내용이다.
주제발표를 한 한국행정연구원 강정석 혁신변화관리센터소장은 “중앙행정기관이 들어설 공공시설만의 면적은 총 18만평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49개 행정기관 가운데 18개 기관이 이전되면 1만 374명의 공무원이 근무를 하게 돼 1인당 사용면적은 17.1평으로 계산됐다.
이는 정부과천청사(8.65평)와 중앙청사(8.94평)의 1인당 사용면적보다 2배 가까이 넓고, 현재의 대전청사 1인당 사용면적(16.53평)보다도 넓어지는 셈이다.
공공기관이 들어설 전체면적은 24만평으로 100%의 용적률이 적용된다. 미래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50%의 유보 면적도 추가 반영된다. 청사의 평당 건축 비용은 650만원이고, 청사를 짓기 위해 필요한 건립비용은 1조 2000억원, 청사용지의 평당 분양가는 167만원에 이른다. 따라서 부지면적과 건축비용을 합치면 모두 1조 6000억원의 이전비용이 소요될 전망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에는 49개 중앙행정기관 중 12부 4처 2청이 이전된다. 통일·외교·국방·법무·행자·여성부 등 6개 부처는 서울에 남는다. 또한 대통령을 보좌하거나 자문하는 기관도 이전하지 않는다. 조달청 등 대전에 있는 8개 외청과 대검찰청·경찰청·기상청·농진청 등 4개 기관도 잔류한다. 반면 식약청은 충북 오송으로, 해양경찰청은 인천 송도로 각각 이전된다.
정부는 2008년 공사를 착공해 일부 정부청사가 완공되는 2012년부터 이전을 시작,2014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