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25 인구주택총조사’ 참여 당부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서울시, 폭설 때 도로 안전 지킬 ‘제설 신기술’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싱크홀·화재로부터 안전”… 송파, 31일 재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충무공 탄생지 중구, 25일 이순신축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영화속 수능잡기] 아일랜드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모든 기술에는 하나의 약속이 있다. 더 멋진 곳, 더 나은 곳으로 당신의 삶을 업그레이드시키겠다는 약속이 그것이다. 자동차는 더 빠른 속도를 약속하고, 에어컨은 더욱 쾌적한 온도를 약속하며, 휴대전화는 더욱 우수한 통화품질을 약속한다. 돌을 갈거나 떼어 석기를 제작하고, 나무 끝을 뾰족하게 다듬어 화살촉을 만드는 등 자연을 인간의 욕망에 맞게 개조하는 일이 전통적인 기술의 영역이었다. 인간의 역사는 곧 기술 발달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돌을 인간의 필요에 맞게 가공하고 변형하기 위해서는 돌에 대한 객관적 지식이 필요했다. 자연에 대한 객관적 지식 체계가 곧 과학이었다. 심해로, 우주로, 과학의 힘을 빌려 기술의 영역은 무한대로 넓어졌다. 기술은 미립자의 세계로까지 인간의 시야를 확대했다. 급기야는 유전자 지도의 제작이라는 위업을 달성한 인간. 그들 앞에 더 이상의 불가능의 영역은 없다.

영화 ‘아일랜드’에서 복제품인 클론들은 자신들이 복제인간이라는 사실도 알지 못한 채 통제와 규율 속에 살아간다. 그들은 행복의 땅,‘아일랜드’를 꿈꾼다. 하지만 그들은 인간의 욕망을 실현시켜줄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 도구는 자신들의 욕망을 말할 자격이 없다. 도구는 행복을 꿈꿀 주체가 되지 못한다. 그들은 하나의 수단에 불과할 뿐이다. 인간의 필요를 위해 쓰여지고 나면 가차없이 버려지는 존재가 도구다. 클론 역시 마찬가지다. 그들의 장기를 적출하여 인간에게 이식하고 나면 그것으로 클론의 생은 마감된다.

그러나 클론들은 울부짖는다. 왜 내가 죽어가야 하는가. 왜 내 몸으로 낳은 아이를 빼앗겨야 하는가. 과학기술자들은 그들에게 말할 것이다. 너희는 애초에 그런 운명으로 설계되고 시스템화되어 있어. 시스템의 논리를 벗어날 수 없는 것이 도구의 운명이야. 인간의 필요에 따라 날아주는 것이 비행기이지, 저 혼자 날기를 꿈꾼다면 그것은 비행기가 아니야. 너희들은 기계로 설계되었지. 한 마리 새로 설계된 것은 아니니까 입을 다물고 있는 것이 좋아.

이미 17세기에 데카르트는 사람과 삶의 과정을 기계로 기술하려는 시도를 한 바 있다. 이른바 ‘동물기계론’이 그것이다.18세기의 라메트리는 동물기계론에서 더 나아가 인간도 기계라고 선언한 바 있다. 그러나 클론들이 기계적인 도구를 만드는 공학적 시스템의 산물일지라도 영화 속의 클론들은 단순한 기계가 아니다. 그들의 심장에는 인간의 피가 흐르고 사랑을 느끼고 낙원을 꿈꾼다. 더 나은 삶을 꿈꾸는 자, 유토피아를 꿈꾸는 자, 그들은 끊임없이 현재를 초월해서 더 나은 곳으로 가고자 한다.

우리는 종이고 노예다. 그러나 우리는 더 나은 삶을 꿈꾼다. 기술의 속박을 끊고 그들은 그들만의 유토피아를 향해 나아간다. 영화 ‘아일랜드’에서의 클론들은 인간이 나아가야 할 삶의 방향을 제시한다. 때로는 창조물들이 창조주보다도 위대한 법이다. 어찌 클론들을 한낱 욕망의 대상으로 보아야 한다는 말인가. 마이클 베이 감독, 이완 맥그리거·스칼렛 요한슨 주연,2005년작.

김보일 서눌 배문고 교사 uri444@empal.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도봉 브레이킹팀, 전국체전 금·동메달 획득

홍텐·에프이 서울시 대표로 출전 지역 청년문화 발전 긍정적 기대

금천 공군부대 부지 공간혁신 개발… 시민 아이디어

유성훈 구청장 “G밸리 연계 거점”

중랑 청소년 문화플랫폼 ‘딩가동’… 5년간 20만여

하루 50명 이상 이용… 내년 총 6곳 후원 연계·캐릭터 상품화 등 성공 류경기 구청장 “청소년 공간 확대”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