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미리내집, 다세대·생활주택으로 다양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서울 서남권 ‘극한 폭우’에 침수취약지 살핀 진교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서울 ‘탄천변 동측도로’ 구조 개선 첫삽…교통사고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서울 “야간·빗길도 안전하게”… 태양광 LED 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7·9급 공무원 시험 완전정복] 국어:문학영역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유형가이드

문학 영역은 현대시와 현대소설, 그리고 주요 고전 작품에 대한 분석적 이해 문제가 많이 출제된다.

대입 수능과 달리 문학론의 응용문제와 문학사적 사실에 대한 확인 문제도 출제된다.

비평의 관점 이해

비평의 관점을 이해하는 문제유형은 문학작품을 어떤 관점으로 평가하고 수용하는가를 파악하는 문제로, 최근 여러 직렬에서 자주 출제되고 있다. 비평에서 중심이 되는 문제는 비평의 기준과 방법이다. 문학 비평의 네 가지 관점을 분명히 알아두고, 문제에서 요구한 관점을 파악하여 답지에 적용하도록 한다.

외재적(外在的) 관점과 내재적(內在的) 관점-외재적 관점은 작품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 환경, 즉 작가·사회·독자와 결부시켜 작품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방법으로 표현론적 관점, 반영론적 관점, 효용론적 관점으로 나눌 수 있다. 내재적 비평은 작품을 외부 환경과 독립시켜 작품 자체 속에서 파악하는 비평의 관점이다.

1)외재적 관점

(1)표현론적 관점

문학 작품을 작가의 체험, 사상, 감정을 표현한 것으로 보는 관점이다. 작품에 대한 이해는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는 일이며, 이를 위해 작가의 전기적 사실을 연구하여 작품에 어떻게 표현되었는가를 살핀다.‘생산론’이라고 하며 ‘의도의 오류’를 범할 수 있다.

(2)반영론적 관점

삶의 현실이 반영된 산물이라고 보고 작품이 대상으로 삼고 있는 당시의 현실 세계(시대·사회)를 파악해 작품을 이해하는 관점이다.‘모방론’이라고도 하는 이 관점은 예술의 독창성을 간과하고 ‘기계적인 반영의 오류’를 범할 우려가 있다.

(3) 효용론적 관점

작품이 독자에게 어떤 효과를 어느 정도 주었느냐에 따라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려는 관점이다. 독자의 감동은 무엇이며 그것이 구체적으로 작품의 어떤 면에서 촉발되었는가와 같은 독자의 주관적 감정이 작품의 가치를 결정한다고 본다.‘수용론’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객관성 확보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감정의 오류’를 범하기 쉽다.

2)내재적 관점-절대주의적 관점

작품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독립적인 존재, 완결된 구조로 보아 작품 내의 여러 요소들의 유기적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며 구조 분석을 통해 작품의 참모습을 볼 수 있다는 관점이다.‘구조론’ 혹은 ‘존재론’의 방법이라고도 한다. 작품을 이해하는 데 참조할 수 있는 것은 작품밖에 없으며, 작품 안에 작품을 해명할 수 있는 모든 요소가 갖추어져 있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작품의 언어, 구조, 부분과 전체의 유기적 관계 등을 중점적으로 탐구한다.

문제

다음 시를 읽고 내재적 의미만을 고려한 독자의 반응으로 알맞은 것은?

푸른 하늘에 닿을 듯이

세월에 불타고 우뚝 남아 서서

차라리 봄도 꽃피진 말아라.

낡은 거미집 휘두르고

끝없는 꿈길에 혼자 설레이는

마음은 아예 뉘우침이 아니라.

검은 그림자 쓸쓸하면,

마침내 호수 속 깊이 거꾸러져

차마 바람도 흔들진 못해라.


(1)甲:3행씩 3연으로 시상이 압축되어 시조를 연상케 해.

(2)乙:시인 자신을 교목에 비유한 것을 보면 독립 운동가다운 면모가 그대로 드러나 있다고 생각해.

(3)丙:이 시는 독자들에게 저항성을 일깨워 주는 것 같아. 우리도 사회 현실이 부정적일 때 맞서 싸워야겠어.

(4)丁:검은 그림자 쓸쓸하면 호수 속에 깊이 거꾸러지겠다는 표현을 통해 일제치하의 현실이 얼마나 가혹했는가를 그대로 보여 주고 있어.

문제풀이 및 정답

(1)작품 자체 내의 구조(형식)적 특성을 분석한 내재적 관점이다.

(2)작가의 생애와 결부하여 이해하고 있으므로 외재적 관점(표현론적 관점)이다.

(3)독자가 작품을 통해 얻게 된 효용성을 언급하고 있으므로 외재적 관점(효용론적 관점)이다.

(4)작품에 반영된 현실 세계의 반영이라는 측면을 중시하고 있으므로 외재적 관점(반영론적 관점)이다. 따라서 정답은 (1).
2005-8-8 0:0: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서울시 독립유공자 후손 초청… 1년 전 약속 지킨

이달 선생 장녀 이소심 여사 등 19명 초청 1년 전 충칭 임시정부에서 초청 약속 지켜져

“LH 손잡고 주거 환경 혁신”… 정비사업 가속도

성북구·LH, 사업 신속 추진 협약

종로, 첫 향토무형유산으로 ‘춘앵전’ 지정

박은영 교수 보유자 인정서 수여

전국 첫 자립준비청년 봉사단체… 은평 ‘은플루언서’

구·대한적십자사 협력… 결성식 인도주의 활동·전문 교육 지원 나눔과 연대의 새로운 모델로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