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괴산군 괴산읍 동부리 고추유통센터 광장에 가면 거대한 가마솥이 설치돼 있다. 지난달 27일 고추축제 개막식 때 일반에 처음 선보인 가마솥은 일단 규모에서 보는 이들을 압도한다.
크기는 높이 2.22m, 둘레 17.85m로 직경이 5m에 이르고 있다. 무게는 본체 30t과 뚜껑 13.5t을 합쳐 43.5t에 달하고 솥의 두께는 5㎝이다.80㎏짜리 쌀 50가마를 한꺼번에 넣어 4만명이 밥을 해먹을 수 있는 세계 최대 솥단지이다.
괴산군이 솥 제작에 들어간 것은 2003년 8월. 증평군이 분리되면서 인구가 4만명 아래로 떨어지고 지역경제가 계속 침체되고 있던 때였다. 아이디어는 김문배 군수가 내놓았다. 군 관계자는 “‘한솥밥 문화’를 복원, 이웃간의 정을 돋우고 관광상품화해 지역경제를 살리고 싶어 제작했다.”고 말한다.
제작비 5억 6100여만원은 군민들의 성금과 예산으로 해결했다. 군내 주물공장에서 무쇠로 만들었다. 이런 규모의 큰 솥을 만들기는 처음이어서 수차례 실패했다. 예산이 늘어나자 무용론이 제기돼 중단위기를 겪기도 했다. 공장에서 24㎞쯤 떨어진 유통센터까지 옮기는 것도 힘들었다. 공장 담벼락과 정문을 허문 뒤 지게차와 트레일러를 동원했다.8시간여가 걸렸다. 뚜껑을 여닫을 때도 트레일러를 이용한다.
모양은 뚜껑에 용머리를 새겼다. 가마솥에서 뿜어져 나오는 김을 빼고 열기를 조정하는 역할이다. 뚜껑 표면에 있는 12마리의 거북이와 무궁화는 괴산군과 11개 읍·면을 상징한다. 솥 둘레에는 용무늬를 그려넣어 웅장함과 용맹스러움을 나타냈다. 솥을 떠받치고 있는 화덕에는 군과 읍·면 이름을 모두 새겨 군민이 한식구임을 표현했다.
솥에는 들기름을 칠한다. 군 관계자는 “동네 할머니들이 ‘가마솥은 들기름을 10번 칠해야 녹이 슬지않고 쇳내도 없어진다.’고 말해 그리하고 있다.”며 이유를 설명했다. 물과 소나무를 넣고 3일간 우러낸 뒤 맹물을 넣고 불을 지펴 솥을 었다. 물을 빼낸뒤 솥이 식기 전에 들기름을 발랐다. 지금까지 두번 들기름을 발랐고, 들기름은 모두 24ℓ쯤 들어갔다고 직원은 말했다.
군은 세계기네스협회의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가마솥 관리전담 부서도 설치한다. 고추축제 때 처음 솥을 썼다. 특산품인 ‘대학찰옥수수’를 하루에 5000개씩 이틀간 1만개를 쪄 관광객들에게 나눠줬다. 미리 물을 끓이고 옥수수를 넣었다. 옥수수를 삶는데 코크스 1.5t(70만원 정도)이 들었다.
괴산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