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핑룸 불났다
요즘 정부 청사에 있는 합동 브리핑룸은 마치 호떡집에 불난 것 같다. 각 기관이 앞다투어 브리핑을 하는 바람에 ‘이상과열’(?)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5월 이후 시작, 지난 달부터 더욱 심해지고 있는 형국이다.10월 말 기준으로 평가를 하는 탓에 그보다 앞서 ‘건수’를 올리려고 마구 브리핑을 하는 것이다. 부처간 ‘홍보전쟁’을 하고 있는 셈이다.‘정부가 한 일을 적극 알린다.’는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건수를 올리기 위해 ‘함량 미달’인 브리핑을 쏟아낸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지난달부터 홍보전쟁… 한부처 하루 2건 브리핑도
5일 정부중앙청사와 과천·대전청사 입주 부처 등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으로 이뤄지는 정부의 홍보 평가에 대비해 각 부처가 좋은 점수를 받으려고 브리핑 계획을 대폭 늘리고 있다.
정부업무 평가에서 ‘정책홍보관리’ 점수가 15%를 차지, 비중이 높기 때문에 좋은 점수를 받으려고 브리핑을 확대하는 것이다. 하지만 정책홍보관리 점수에서 브리핑이 차지하는 비중은 그리 크지 않다. 정책홍보관리를 100점으로 할 때 브리핑 등 대(對)언론홍보활동이 15점이다. 다른 여러 항목 가운데 한 부분일 뿐이다.
실제로 정부중앙청사 5층에 마련된 합동브리핑룸 이용이 최근 부쩍 늘었다.A부처의 경우 1∼2월 각 4건,3월 6건,4월 5건 등에 불과했으나 5월부터는 갑자기 늘었다.5월 12건,6월 11건,7월 10건,8월 11건 등으로 껑충 뛴 것이다.A부처는 이날 2건을 브리핑했고,6∼8일에도 매일 1건씩 예정돼 있다.B기관도 1∼7월까지는 매월 1∼3건에 불과했으나 8월에는 7건을 브리핑했다.9월에도 벌써 3건을 했다.1월부터 8월 말까지 통합브리핑 룸 사용횟수는 행자부 63건, 통일부 62건, 교육부 58건, 여성가족부 29건, 소방방재청 22건 등이다.
과천청사도 비슷한 상황이다. 올해초부터 6월 말까지 과기부 124건, 복지부 90건, 환경부 78건, 노동부 71건을 각각 브리핑했다. 이처럼 각 부처가 브리핑에 바짝 신경을 쓰면서 합동브리핑룸을 빌리기조차 쉽지 않다. 브리핑은 보통 오전 10시30분,11시,11시30분에 열리는데 이 시간대에는 서로 브리핑을 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양(量)적 경쟁이 아닌 질(質)적 경쟁을”
이런 분위기에 대해 각 부처마저도 ‘아니올시다.’는 반응이다. 경쟁을 하려면 질적인 경쟁이 이뤄져야 하는데 양적인 경쟁에 치우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브리핑을 한 것 가운데 기사화가 되지 않는 것이 더 많은 실정이다. 브리핑이 얼마나 국민에게 전파되는지는 평가하지 않는다. 한 홍보 담당자는 “건수 위주로 경쟁을 하다보니 내용이 빈약한 것도 브리핑을 하고 있다.”면서 “정부가 언론을 상대로 ‘양치기 소년’ 노릇을 하는 심정”이라고 답답해 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현재의 평가 시스템을 보면 환자가 병원에 몇 번 가서 병을 치료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아파서 병원에 몇 번 갔는지를 평가하는 방식”이라고 꼬집었다.
대전 청사의 한 관계자도 “국민들의 관심 등에 대한 고려없이 2∼3장짜리 보도자료를 가져와 읽고 나가는 어이없는 브리핑도 많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정홍보처 관계자는 “현재 건수에 치중돼 있다는 지적과 관련, 홍보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마련 중에 있으며, 내년부터 적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조덕현 박승기기자 hyoun@seoul.co.kr
2005-09-06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