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전형은 서울의 경우 중학교 성적과 영어평가, 구술·면접을 치른다. 경기 지역은 구술·면접 대신 학업적성검사를 실시하는데, 사실상 구술·면접이라고 보면 된다. 특별전형은 서울과 경기 모두 학교성적우수자와 외국어 특기자, 학교장 추천자 등의 전형을 실시한다. 이 가운데 학교성적우수자 전형으로 뽑는 인원은 서울과 경기 각 52.1%,51.3%로 특별전형 정원의 절반을 넘는다.
일반전형을 기준으로 보면 지원자격은 대부분의 외고가 중학교 성적 상위 30% 이내로 그리 까다롭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중학교 성적이 실제로 반영되는 실질반영비율은 전체의 1%도 안된다. 여기에 외고에 지원하는 학생들의 영어 실력이 비교적 높은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결국 구술·면접이나 학업적성검사가 당락을 가른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특별전형의 학교성적우수자 전형은 구술면접을 보기 때문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외고 구술면접은 대부분 수학 능력과 사고력을 묻는 지필고사 형태다. 지난해 서울 지역 6개 외고에 이어 동두천외고를 제외한 경기 지역의 6개 외고들도 올해부터 학업적성검사 문제의 일부를 공동 출제한다. 학교당 한 문제씩 모두 6문제를 출제하는데, 실제 시험에서는 학교에 따라 3∼6문제씩 출제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경기 지역 외고들이 학업적성검사에서 지난해처럼 20문제 안팎으로 출제한다면 공동출제 문제의 비중은 15∼30%로 무시할 수 없다.
문제는 난이도. 공동출제 문제가 상당히 까다로울 가능성이 높다. 학교별로 내는 문제 대부분이 학생들에게 익숙한 단순 해결형 문제인 반면, 공동출제 문제는 사고력을 측정한다는 차원에서 다양한 응용문제를 출제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서울 지역 외고들이 공동출제하면서 고도의 사고력을 측정하는 수학 문제를 냈다는 점도 이런 전망을 뒷받침한다.
㈜하늘교육 임성호 실장은 “지난해 서울 지역 외고 전형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가장 많이 틀린 부분이 학교별로 공동출제한 사고력 문제였다.”고 분석했다. 그는 “지난해 서울 지역 외고에 지원한 학생들은 10문제 가운데 5∼7개 이상을 맞춰야 합격할 수 있었다.”면서 “외고 입시에서 변별력이 가장 강한 부분이 사고력 문제인만큼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외고 진학을 고려할 때 주의할 점 하나. 겉으로 보이는 이미지만 보고 진학을 결정해서는 안된다. 특히 외국어특기자의 경우 대부분 해당 외국어 듣기시험과 원어 인터뷰로 모든 전형을 대신한다. 특례입학의 경우 평균 5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일 정도로 인기가 높다. 그러나 학생 스스로 분명한 목표가 없는 경우 중도 포기할 가능성이 높다. 공부를 따라가지 못해 스트레스만 받고 내신도 8∼9등급의 최하위권으로 떨어져 대학 진학에 실패한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 도움말 ㈜하늘교육
김재천기자 patric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