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통일부가 국회에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5일 현재 통일교육원과 남북회담사무국 등 소속기관을 포함한 통일부의 전체 인력은 495명으로,2000년의 387명에 비해 27.9% 늘어났다.
이는 참여정부 출범 직후인 2003년 4월의 420명보다도 17.9% 증가한 인원이다.
이런 현상은 2000년 6·15 공동선언 이후 대북 관련 업무가 꾸준히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실제 2003년 11월에는 남북 철도·도로 연결에 따른 남북출입사무소가 생기면서 24명이,2004년 10월에는 개성공단사업지원단 출범으로 27명이, 지난달에는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에 필요한 7명이 각각 정원으로 추가됐다. 기존 조직 중에는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교육과 초기 정착을 돕는 정착지원사무소가 탈북자 증가로 2000년 26명에서 현재 55명으로 2배 이상 늘었다. 또 옛 인도지원국도 2004년 1월 인도적 사업은 물론 사회문화 분야 교류협력 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문화교류국으로 개편된 이후 인력이 32명에서 41명으로 늘었다.
김상연기자 carlo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