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인천해양경찰서에 따르면 2004년 11월 처음으로 3000t급과 1500t급 경비정에 여경을 배치한 데 이어, 올 초 소형 경비정인 1000t급에도 여경들을 추가로 배치, 경찰서내 38명의 여경 가운데 31.6%인 12명이 경비함정에 근무하고 있다.
이같은 조치는 남녀 성차별을 없애고, 신입 남녀 직원들의 해상업무 파악을 위해 처음 1년간 경비함정에 의무적으로 승선시키도록 규정한 내규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여경들의 경비정 근무를 놓고 여성만의 특성으로 업무효율이 높아진다는 의견과 점점 흉포화하고 있는 해상범죄 등을 고려할 때 적합지 않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
찬성하는 쪽은 여경들이 항해·기관·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유의 섬세함으로 업무를 꼼꼼히 챙겨 남자 해경보다 업무효율을 더 높이고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중국어·일어·영어 등 어학 실력이 남자 해경보다 뛰어나 한반도 주변국 해상 치안기관과의 협력에 치중하는 해경의 현실에도 부합된다는 것이다.
반면 반대파는 업무가 세분화된 대형 경비함은 그렇다 치더라도 소형 경비정까지 여경을 배치하는 것은 위난에 처한 선박들의 구조활동에 장애가 되는 등 오히려 업무효율을 떨어뜨려 조직의 맹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해경의 한 관계자는 “여경들에게 다양한 업무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점에는 공감하지만 여경들이 점점 난폭해지는 불법조업 중국어선 등에 대응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