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면서 공부하기의 비결은 영화보기다. 그러나 영화를 단순한 오락물로 생각해서는 남는 것이 없다. 그렇다면 영화를 즐기면서, 영화를 통해 배우려면 어떻게 영화를 보아야 할까.
모르면 묻는 것이 상책이다. 검색엔진의 ‘지식사이트’에 ‘이러이러한 주제를 가지고 영화를 보려고 하는데 어떤 영화를 보는 게 좋을까요?’하는 질문을 올려 보라. 고맙게도 하루가 되지 않아서 수많은 답변이 올라온다.
아무런 준비 없이 영화를 통해 배우겠다고 생각해서는 영화는 한낱 오락거리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영화를 보고 나서 영화와 관련된 주제를 면밀하게 살펴보라. 영화와 관련된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얼마든지 구해 읽을 수 있다. 남들은 그 영화를 어떻게 보았는지 다른 사람이 작성한 영화평을 읽어보는 것도 좋다. 그러나 나 자신의 느낌을 정리해 보는 것이 가장 좋다. 책을 읽고 독후감을 써보는 것이 가장 좋은 책의 이해일 수 있듯이 영화에 대한 감상문을 적어보는 것도 영화를 나름대로 이해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다.
원작을 읽어본 뒤, 원작이 영화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좋다. 가령 ‘노인과 바다’를 읽어보고 영화를 보면 어떨까. 찰리와 초콜릿 공장을 읽고 역시 같은 제목의 영화를 보는 것도 좋을 것이고,‘해리포터’ 시리즈를 읽고 같은 제목의 영화를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그렇게 하면 영화와 소설이 어떻게 다른지를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다.
한 사람의 전기를 다룬 책을 읽어보고 그 전기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를 보는 것도 좋다. 간디, 루터킹, 말콤엑스, 체 게바라와 같은 정치가들을 다룬 영화도 있는가 하면 고흐, 프리다 칼로, 모차르트와 같은 예술가를 다룬 영화들도 있다. 영화와 책을 통해 한 사람의 삶을 깊이 있게 들여다보는 일은 값진 경험이 될 것이다.
다소 특이한 방식이지만 영화 속의 패션을 연구해 보는 것도 좋고,1920년대의 복장과 1930년대의 복장이 영화 속에서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 또 영화 속에서 건축물들을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가위손’이나 ‘배트맨’에서는 아주 훌륭한 현대식 건물들이 등장한다. 이를 살펴보면서 영화를 보는 것도 훌륭한 영화 보기의 방법이다.
뭐니뭐니 해도 가장 좋은 것은 전문가의 의견을 듣는 것이다. 전문가를 찾기가 쉽지 않다고? 천만의 말씀이다. 서점에 나가 영화 관련 코너에 가보라. 영화와 관련하여 소상한 의견을 들려줄 전문가가 한 둘이 아니다. 당장 서점에 나가 보라. 배우, 감독, 시나리오, 연기 등 영화를 주제로 한 많은 책들이 있을 것이다. 그 책들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영화와 철학’,‘문학과 철학’ 등의 제목을 가진 책들이 눈에 띌 것이다.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철학적 개념을 영화로 풀어내는 책들이 눈에 띌 것이다. 바로 그런 책이 영화를 ‘놀면서 배우기’에 적합한 책이다.
그 책들이 소개하는 영화를 이틀 걸러 하나씩 보아도 좋다. 부모님께서는 “너 왜 매일 영화니?” 불쾌한 표정을 지으실 수도 있다. 그럴 때는 정색을 하고 부모님께 말씀드리자.“제가 지금 노는 게 아니라고요. 저 지금 영화를 오락물로 보는 게 아니라 영화를 통해서 공부를 하는 거예요. 바로 이런 게 교육이란 뜻의 ‘에듀케이션’과 오락물이란 뜻의 ‘엔터테인먼트’가 결합된 ‘에듀테인먼트’라는 거예요. 에듀테인먼트!” 이쯤 되면 부모님께서도 “녀석 대견하군.” 하시면서 너그럽게 보아주실 것이다.
김보일 서울 배문고 교사 uri444@empal.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